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女性英雄의 敍事的 傳統과 古小說에서의 受容과 變貌The narrative tradition of heroines and its acceptance and changes in the old novels

Authors
김용기
Issue Date
Jan-2011
Publisher
우리문학회
Keywords
heroine; hero novels; heroine novels; Soseono; Pyeongkang; Woosi; Whonyeo; <Seoljeojeon>; <Banghanrimjeon>; <Geumbanguljeon>; <Wolyoungnangjajeon>; <Sohyeonsungrok>; <Chang Seon Gam Ui Rok>; 여성영웅; 영웅소설; 여성영웅소설; 소서노; 평강공주; 우씨; 후녀; <설저전>; <방한림전>; <금방울전>; <월영낭자전>; <소현성록>; <창선감의록>; heroine; hero novels; heroine novels; Soseono; Pyeongkang; Woosi; Whonyeo; <Seoljeojeon>; <Banghanrimjeon>; <Geumbanguljeon>; <Wolyoungnangjajeon>; <Sohyeonsungrok>; <Chang Seon Gam Ui Rok>
Citation
우리문학연구, no.32, pp 33 - 74
Pages
42
Journal Title
우리문학연구
Number
32
Start Page
33
End Page
7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46437
ISSN
1229-7429
Abstract
이 글은 여성영웅의 서사적 전통과 고소설에서의 수용양상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여성영웅의 개념을 ‘여성 우위’나 ‘내조적 여성영웅’과 같이 ‘남성성’이나 ‘남성영웅’을 염두에 둔 기존의 방식과 다른 차원에서 접근하고자 했다. 여성영웅의 능력 발휘는 여성의 자아성취라는 내적인 자족성과 연결될 때 의미가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러한 여성영웅의 능력발휘나 자아성취는 남성(남편)을 통해 대리적으로 드러나는 경우와, 여성 스스로의 노력과 행위에 의해 구체적으로 실현되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 필자는 전자에 해당하는 경우를 ‘잠재적 여성영웅’으로, 후자를 ‘실현적 여성영웅’이라고 명명했다. 전자의 경우는 설화에 나타나는 인물들인, 소서노, 평강공주, 우씨, 후녀, 신혜왕후 유씨, 장화왕후 오씨를 예로 들어 논의하였다. 그리고 후자에 해당하는 여성으로는 초기 여성영웅소설인 <설저전>의 설소저, 후기 여성영웅소설인 <방한림전>의 방관주를 예로 들었다. 이어서 전대의 설화문학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났던 ‘잠재적 여성영웅’이 조선후기 고소설에서도 여전히 지속되어 나타났다는 점을 몇몇 작품의 여성들을 통해 제시하여, 여성영웅이 어느 특정 시기에 충동적으로 나타난 것이 아니라 오랜 서사적 전통을 가지고 지속되고 변모되었음을 논의하였다. 여성영웅에 대한 이러한 필자의 논의는 여성영웅의 개념과 유형을 설정하는데 있어서 새로운 문제의식을 공유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