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조선후기 시민의식의 성장에 관한 시각적 고찰 - 봉산탈춤 제 6과장 양반춤 탈을 중심으로Visual Consideration for the Growth of the People's Awareness in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the Mask for the Nobleman Dance, the 6th Part of the Bongsan Masked Dance

Authors
민신기이견실
Issue Date
2010
Publisher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Keywords
Ceremony; Semiotic Methodology; Ideology; Bongsan Masked Dance; visualization
Citation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10, no.4, pp 55 - 64
Pages
10
Journal Title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ume
10
Number
4
Start Page
55
End Page
6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46880
DOI
10.17280/jdd.2010.10.4.006
ISSN
1598-2319
Abstract
동서고금(東西古今)을 살펴 보면 역사에 우연은 없다. 반드시 인과응보(因果應報)적이다. 이는 정부와 국민들 간의 관계에도 예외는 아닐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의 목적은 조선시대 후기 기득 세력이었던 양반층에 대한 일반 백성들의 정서를 당시 놀이 문화 중 하나였던 봉산탈춤을 통해 이해하는 데에 있다. 연구 대상으로는 전체 구성 중 ‘양반춤’에 등장하는 ‘말뚝이 탈, 서방님 탈, 취발이 탈’로 선정하였다. 이는 시각디자인 관점에서 분석하는 데에 조형성과 풍자성을 겸비한 탈이 적격이라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분석 방법은 문헌 연구와 롤랑바르트의 신화론을 통하여 표현(expression)과 내용(contents)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 둘은 분리될 수 없는 두 가지로 결합됨으로서 존재적 의미론을 갖는다. 분석 결과 당시 조선 후기 백성들은 여러 국가적 전란 등을 통해 당시 기득 세력에 대한 실망감과 일반 백성들 중 일부는 부의 축척을 통한 내적 자신감을 갖게 되는 등 서서히 민중 의식이 성장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봉산탈춤이라는 민중 놀이 문화를 통하여 당시 양반들에 대한 불만을 우회적으로 풍자 비판했음을 알 수 있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Arts > School of Desig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