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현대 러시아 영화산업 현황과 글로컬리티 지향성Current Status of the Modern Russian Film Industry and its Glocality

Authors
송정수
Issue Date
2020
Publisher
한국노어노문학회
Keywords
Russian Cinema; Russian Film Industry; Russian Blockbuster; The Year of Russian Film; Glocality; 러시아영화; 러시아 영화산업; 러시아 블록버스터; 러시아 영화의 해; 글로컬리티
Citation
노어노문학, v.32, no.4, pp 299 - 336
Pages
38
Journal Title
노어노문학
Volume
32
Number
4
Start Page
299
End Page
33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48389
ISSN
1225-0414
Abstract
본 논문은 포스트소비에트 시기의 러시아 영화산업 현황 및 규모를 파악하고, 문화산업으로서 러시아영화의 가치와 미래 전망을 가늠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러시아 영화시장의 본격적인 정체기가 시작된 2013년도부터 그간의 침체기에서 벗어나 ‘기록적인 해’로 자리매김한 2017년도까지의 지표를 중점적으로 비교해본다전 세계 영화시장 내에서 러시아 시장의 점유율은 1.5~2%에 그치며, 미국이나 중국의 시장 점유율과 비교할 때 결코 높다고 할 수 없다. 하지만 최근 러시아는 현대 영화산업 부문에서 신흥강자로 주목받고 있는 중국 및 인도와 국가적 차원에서 다양한 영화진흥 협력 사업을 추진 중이며, 이에 따른 반사효과가 기대된다. 한편 러시아 정부 차원에서 ‘러시아 영화의 해’로 명명한 2016년 이후 러시아 국내영화의 관람객 숫자와 매표매출 규모는 3년 연속 증가세로 돌아선다. 동일한 시기에 해외 영화시장에서 러시아영화에 대한 평판과 관람객 수 역시 증가세를 보인다. 그동안 러시아영화는 A급 국제영화제에서 상위권에 이름을 올리며 그 예술성을 인정받아 왔지만, 정작 국내 관객으로부터 외면받아왔다. 하지만 2016년 이후 러시아 국내 관객이 보여준 자국 영화에 대한 선호도 증가세와 해외 시장에서의 반응은 예술성과 별개로 그간 러시아영화에 있어서 풀지못한 과제처럼 주어져 왔던 대중적 한계의 극복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최근 10년간 러시아 영화산업과 관련된 다양한 이슈 및 현황 자료를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 해외 영화시장에서 러시아 영화산업의 위상과 미래 가치를 전망해본다.. 또한 2016년 이후 러시아영화에 대한 자국 관객의 선호도 증가 현상 분석을 토대로 ‘예술성’과 ‘대중성’의 간극을 상쇄시키기 위해 향후 러시아영화가 주목해야 할 방향을 짚어본다. 이와 관련하여 특별히 러시아 정부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살펴보고, 현대 러시아 영화산업에서 관찰되는 글로컬리티 지향성을 분석해본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The Office of Research Affairs >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ong, Jung Soo photo

Song, Jung Soo
연구처 (외국학연구소)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