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청대 接境 공간 시론-몽골과 중국의 경계선이자 변경선인 長城을 중심으로-Attempt to discussion on Contact Zones during the Qing Dynasty -Focus on the Great walls as Boundary and Frontier line between China and Mongolia-

Authors
이춘복
Issue Date
2020
Publisher
한국사학사학회
Keywords
장성; 접경; 이원 법률체계; 군영설치; 병력배치; Contact Zones; Great Wall; Dual legal system; Eight Banners; Green Standard Army
Citation
韓國史學史學報, no.42, pp 157 - 209
Pages
53
Journal Title
韓國史學史學報
Number
42
Start Page
157
End Page
20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48504
ISSN
1229-7488
Abstract
본고는 학술적 가치에 비해 기존 연구가 부족했던 접경 공간인 청대 장성이 작동된 면모를 추적하여 그 대략적인 윤곽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필자는 강제성을 띤 의무사항 조항이 규정된 각종 『蒙古律例』와 『大淸律例』 및 그 해설서는 물론 이번원 관련 각종 칙례를 추적하여, 몽골과 중원을 구분 짓는 장성이 법률상의 경계선임을 입증하였다. 또한, 청대 장성일대에 팔기군과 녹영군의 군영설치와 병력배치를 추적하여, 청대 장성이 어떻게 활용되고 실제 어떻게 작동되었는지를 규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청조 황제들의 만리장성 무용론과 장성부근 변경폐쇄론 및 변경부정론과 다르게, 청대 장성은 법률상 경계선이자 군사상 변경선이었고, 중원은 물론 몽골인에게 장성일대 변경은 넘나들지 말아야 할 금지선이었으며, 이곳의 관병들에게는 사수해서 단속해야할 저지선 등으로 청말까지 실제 작동하였음을 확인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The Office of Research Affairs >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