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폭력피해와 범죄불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대인신뢰의 조절효과Associations between Violent Victimization, Fear of Crime, and Depressive Symptoms: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Trust

Authors
이민아김경민
Issue Date
Aug-2021
Publisher
한국조사연구학회
Keywords
폭력피해경험; 범죄불안; 우울; 대인신뢰; 조절효과; 일반긴장이론; violent victimization; depressive symptoms; fear of crime; interpersonal trust; moderation; general strain theory
Citation
조사연구, v.22, no.3, pp 109 - 135
Pages
27
Journal Title
조사연구
Volume
22
Number
3
Start Page
109
End Page
13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49046
DOI
10.20997/SR.22.3.5
ISSN
1229-9219
Abstract
이 연구는 일반긴장이론(general strain theory)에 기초하여 폭력피해경험과 범죄불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탐구하고, 대인신뢰가 폭력피해경험과 범죄불안의 효과를 조절하는지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수집한 「사회문제와 사회통합 실태조사」를 사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다중회귀분석과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소벨(Sobel) 검증법을 활용하였다. 분석의 결과, 폭력피해경험과 범죄불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우울을 높였으며, 폭력피해경험과 우울 간의 관계에 범죄불안이 10% 수준에서 유의한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신뢰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범죄불안과 대인신뢰 간의 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았으나 폭력피해경험과 대인신뢰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효과가 있었다. 폭력피해경험이 있는 응답자의 경우 대인신뢰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피해경험이 가진 부정적 효과가 크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폭력피해경험이 없는 응답자의 우울은 대인신뢰에 따른 변화폭이 크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대인신뢰가 폭력피해경험자의 정신건강에 매우 중요한 심리사회적 자원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Soci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Min Ah photo

Lee, Min Ah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