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최근 Hyperglycemic Hyperosmolar State를 경험한 GAD 항체 양성인 당뇨병환자에서 발생한 당뇨병성 케톤산증 1예A Case of Diabetic Ketoacidosis in a GAD Antibody-positive Diabetes Patients who Recently Experienced Hyperglycemic Hyperosmolar State

Authors
손장원오연상김재택신순현이석홍이정안
Issue Date
2005
Publisher
대한당뇨병학회
Keywords
Latent autoimmune diabetes of the adult; Diabetic ketoacidosis; Hyperglycemic hyperosmolar state; GAD antibody; Latent autoimmune diabetes of the adult; Diabetic ketoacidosis; Hyperglycemic hyperosmolar state; GAD antibody
Citation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29, no.3, pp 267 - 270
Pages
4
Journal Title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ume
29
Number
3
Start Page
267
End Page
27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49262
ISSN
2233-6079
2233-6087
Abstract
LADA는 대부분 제1형 당뇨병과 같은 자가면역기전에 따라 진행하며, 상호간에 유전적소인이 유사하고 GAD항체 양성으로 인슐린 의존형 상태로의 진행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진단시 인슐린 요구량이 제1형 당뇨병에 비해 적으며 이후 보다 느리게 진행하여 인슐린 결핍 상태까지의 유병기간이 보다 길다. 본 증례는 최근 6개월 내 HHS를 경험한 GAD항체 양성인 당뇨병환자에서 발생한 당뇨병성 케톤산증 1예로, 이 기간동안 공복시 C-peptide가 0.65 nmol/L에서 0.13 nmol/L로 감소하였다. 이는 베타세포의 파괴에 따른 인슐린 결핍 상태의 진행를 의미하며 이와 같은 임상양상으로 미루어 latent autoimmune diabetes in adults (LADA)에서 발생한 급성합병증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LADA의 임상적 중요성은 적절한 조기 선별진단과 치료가 베타세포에서의 인슐린 분비능을 최대한 보존하여 자가 면역기전에 따른 인슐린 결핍 및 그에 따른 급성합병증 상태로의 진행을 늦출 수 있다는데 있겠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Medicine > College of Medicin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Jae Taek photo

Kim, Jae Taek
의과대학 (의학부(임상-서울))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