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인스타그램 게시물을 통해 본 관람 경험의 사회적 현존감적 특성에 대한 연구 -메트로폴리탄미술관, 뉴욕현대미술관, 솔로몬 R. 구겐하임미술관을 중심으로-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Presence of Museum Experience through the Lens of Instagram Posts : Case Studies of Art Museums in New York Area including Metropolitan Museum of Art, Museum of Modern Art and Solomon R. Guggenheim Museum

Authors
이언주이보아
Issue Date
2021
Publisher
한국박물관학회
Keywords
Museums in New York; Instagram; Characteristics of Social Presence; Co-presence; Co-location; 뉴욕의 미술관; 인스타그램; 사회적 현존감적 특성; 공존감; 공동의 장소
Citation
박물관학보, no.40, pp 201 - 226
Pages
26
Journal Title
박물관학보
Number
40
Start Page
201
End Page
22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50465
DOI
10.22884/joksms..40.202106.008
ISSN
1738-5741
Abstract
본 연구는 관람 경험과 관련된 인스타그램 해시태그 기록에서 ‘공존감’과 ‘공동의 장소’에 대해 주목하고, 뉴욕 소재 미술관의 인스타그램 해시태그를 비교 분석하며 미술관 마다의 사회적 현존감적 특성에 대해 모색했다. 또한 미술관 공식 인스타그램에서 관람 경험에 대한 게시물의 활용 사례도 살펴보았다. 해시태그 분석 결과에서 메트로폴리탄미술관과 솔로몬 R. 구겐하임미술관의 경우, 뉴욕의 미술관이라는 물리적인 장소와 지역 중심의 기록으로써 공존감을 형성한 반면, 뉴욕현대미술관의 경우, 현대미술 중심의 해시태그 기록으로써 상호간의 연결을 위한 감각을 형성하고 있었다. 공동의 장소보다 예술에 대해 비중을 보인 뉴욕현대미술관의 사례는 소장품 및 기획, 미술 행사와 연관된 것으로 판단된다. 미술관과 관람객이 인스타그램에서 관람 경험을 기록 및 공유할 때에는 미술관의 장소에 함께 있는 것과 같은 감각으로써 상호간의 공존감을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본 연구의 빅 데이터 분석에서 작품 감상 및 미적 경험에 대한 결과가 상위에 없는 것은 시각 중심의 인스타그램에서 작품 정보 확산과 상호교류에 창의적인 시도가 요구되는 것이다. 앞으로 미술관에서는 미술관의 콘텐츠 확산 및 탐색을 위해 본 연구 사례 분석의 사회적 현존감적 특성을 참고하고 관람객의 기록 및 반응을 분석하며 미적 경험에 대한 참여를 이어가야 할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Art and Technology > School of Computer Art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Bo A photo

Lee, Bo A
예술공학대학 (예술공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