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문화적 성향과 민화작품 관람동기의 관련성 : 민화작품의 특성 및 교육적 시사점open accessRelationships between Cultural Disposition and the Motivation of Folk Paintings :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Implication of Folk Paintings

Authors
소은혜나영
Issue Date
Oct-2021
Publisher
한국상업교육학회
Keywords
문화적 성향; 민화작품; 관람동기; 교육적 시사점; Cultural Disposition; Motivation of Folk Paintings; Educational implication
Citation
상업교육연구, v.35, no.5, pp 1 - 41
Pages
41
Journal Title
상업교육연구
Volume
35
Number
5
Start Page
1
End Page
4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51152
DOI
10.34274/krabe.2021.35.5.001
ISSN
1229-8867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후생에 기여하는 문화예술 분야 중 민화전시 관람동기를 통해 교육적 시사점을 제안한다. 문화예술은 사회후생에 공헌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영학 분야에서 예술의 효과 및 컨텐츠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며, 실무교육적 시사점도 한계적으로 제안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문화적 성향이 민화작품의 교육적 특성을 얼마나 고려하는지 살펴보았다. 나아가 개인의 문화적 성향이 관람객의 인구통계적 특성 및 전시시설에 따라 작품관람 동기에 미치는 영향이 차이가 있는지 로짓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의 문화적 성향에 따라 민화작품 관람 동기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민화작품 관람 동기는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전시시설을 고려하는 동기가 크다면 작품을 관람하려는 동기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경영 분야에서 작품의 의미를 분석하고, 교육적 시사점을 제안하고 있는데 크게 3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수평적 집단주의적 성향을 가진 관람객의 경우 작품의 의미를 고려하는 경향이 크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민화작품을 관람하러 오는 관람객 개인의 문화적 성향과 인구통계적 특성을 파악하여 민화작품과 연계된 교육적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면 민화작품 관람동기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셋째, 그러나 전시기획자가 관람객에게 시설관람 동기를 제공한다면 오히려 순수한 작품관람 동기가 감소하기에 구체적 대안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위와 같은 시사점에도 본 연구는 교육적 시사점을 정의하는데 작품의 특성 및 전시시설로 제안했다는 점이 아쉬운 부분이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전시의 실무교육적 부분을 정의할 때 보다 다양한 전시시설 및 성격에 맞게 포괄적으로 재구성 될 필요가 있다.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Business & Economics >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