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Bifactor 모형을 적용한 CES-D 척도의 요인구조 검증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재은-
dc.contributor.author이태헌-
dc.contributor.author윤소진-
dc.date.available2019-03-08T09:57:50Z-
dc.date.issued2017-12-
dc.identifier.issn1225-665X-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518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요인 수와 구조의 불일치 문제가 제기되어 온 Radloff의 CES-D 척도의요인구조에 대해 Bifactor 모형을 적용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한국복지패널조사에서 축약형 CES-D 척도에 응답한 12,309명을 분석 대상으로 요인구조를 확인하였으며, 연구 2에서는 223명의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CES-D-K척도의 요인구조 및 준거 타당도를 분석하였다. 요인구조 분석 시 Bifactor 모형에서 도출 가능한 모형 기반 신뢰도와 일차원 검정 지수 등을 활용해 CES-D척도의 측정적 속성과 요인구조를 보다 정확하게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CES-D 척도는 강력한일반요인을 가지는 단일차원으로서 전체점수(총점)를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dc.format.extent7-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R-
dc.publisher대한스트레스학회-
dc.titleBifactor 모형을 적용한 CES-D 척도의 요인구조 검증-
dc.title.alternativeA Bifactor Approach to the Factor Structure Study of the CES-D Scale-
dc.typeArticle-
dc.identifier.doi10.17547/kjsr.2017.25.4.272-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스트레스 硏究, v.25, no.4, pp 272 - 278-
dc.identifier.kciidART002295377-
dc.description.isOpenAccessY-
dc.citation.endPage278-
dc.citation.number4-
dc.citation.startPage272-
dc.citation.title스트레스 硏究-
dc.citation.volume25-
dc.publisher.location대한민국-
dc.subject.keywordAuthorCES-D-
dc.subject.keywordAuthor우울-
dc.subject.keywordAuthor확인적 요인분석-
dc.subject.keywordAuthorBifactor 모형-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Psych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