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예측 요인 탐색 : 진로장벽, 취업스트레스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Predictors of University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n Career Barriers, Job-Seeking Stress and Career-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uthors
김수경안도희
Issue Date
2020
Publisher
안암교육학회
Keywords
진로준비행동; 진로장벽; 취업스트레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대학생;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career barriers; job seeking stress; career decision making self efficacy; university students
Citation
한국교육학연구, v.26, no.3, pp 25 - 48
Pages
24
Journal Title
한국교육학연구
Volume
26
Number
3
Start Page
25
End Page
4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52170
DOI
10.29318/KER.26.3.2
ISSN
1598-9054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하는 진로장벽, 취업스트레스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A 대학교 재학생 총 545명(저학년 : 238명, 고학년 : 307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진로준비행동, 진로장벽의 ‘나이 문제’ 요인 및 취업스트레스의 ‘성격’, ‘학업’, ‘취업 불안’ 요인은 고학년이 저학년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 진로장벽의 ‘중요한 타인과의 갈등’ 요인은 저학년이 고학년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년’ 요인과 진로장벽의 ‘자기 명확성 및 정보 부족’, ‘직업정보 부족’, ‘신체적 열등감’ 요인 및 취업스트레스의 ‘성격 스트레스’와 ‘취업불안 스트레스’ 요인 그리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미래계획’, ‘문제해결’ 요인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예측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대학생의 학년 수준에 따른 진로준비행동 증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 >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Ahn, Doe Hee photo

Ahn, Doe Hee
사범대학 (교육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