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正義의 女神 유스티티아(Iustitia)의 모습과 正義의 상징

Authors
한승수
Issue Date
Dec-2017
Publisher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Keywords
Lady Justice; Iustitia; Dike; blindfolded Justice; Art.; 정의의 여신; 유스티티아; 디케; 눈을 가린 여신; 미술
Citation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 v.11, no.2, pp 1 - 32
Pages
32
Journal Title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
Volume
11
Number
2
Start Page
1
End Page
3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5227
DOI
10.20995/CMEL.11.2.1
ISSN
2092-6138
Abstract
법을 다루는 공간인 법원, 관공서나 법과대학, 법학전문대학원에서도 정의의 여신을 쉽게 만날 수 있다. 그런데, 정의의 여신 유스티티아(Iustitia)는 우리가 정의를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따라 시대와 장소에 따라 다른 모습으로 나타난다. 정의의 여신을 의미하는 Iustitia는 라틴어 iustitia(정의)에서 그 첫 자가 대문자로 된 것으로, ius(‘법’ 혹은 ‘권리’)나 iustum(‘정의로운’)과 관련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정의의 여신으로 이해된다. 이와 같은 정의의 여신의 원형은 이집트에서부터 찾을 수 있다. 소위 마아트(Maat 또는 Ma’at)가 그것인데, 최후의 심판에서 저울이 등장하는 것도 의미가 있다. 그리스에서는 테미스(Themis)나 디케(Dike)를 살펴봐야 하는데, 이들은 각각 그리스 신화에서 정의를 상징하고 있었다. 고대 로마에서는, 정의의 여신이 존재하지 않았는데 그것은 정의에 대한 로마의 관념(“Iustitia est constans et perpetua voluntas ius suum cuique tribuens”), 로마의 실용적 전통이나 私法에 대한 관심과 연결 지을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차츰 로마에서도 그리스의 영향으로 정의의 여신을 찾을 수 있다. 정의의 여신은 중세에는 여신이라기보다는 德의 상징으로서 여러 미술품에 등장하며, 현재에 이어진다. 이와 같은 정의의 여신이 지니고 있는 상징물은 일반적으로 저울과 칼이다. 저울은 균형, 칼은 엄정함을 의미하는데, 징벌로 이해되기도 한다. 눈을 가린 여신도 등장하는데, 이는 그 원형에서 찾을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중세에서야 비로소 그 예를 발견할 수 있다. 당초에는 정의의 여신의 눈을 가림으로써 그를 희화화하는 것이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눈을 가리는 것은 부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눈을 가린 여신이 등장하는 이상, 그것을 공정함의 전제로 보는 등 여러 가지 해석이 나타나게 된다. 그런데, 정의의 여신이 가지는 상징물은 한정적인 것이 아니어서, 법전을 든 여신도 여러 곳에서 찾을 수 있고, 현대적인 작품에서는 특별한 상징물을 들고 있지 않은 경우도 있다. 정의의 여신이 어떠한 상징물을 지니고 어떠한 자세를 취하는가는 그를 만든 사람에 의하여 혹은 그 시대에 일반적으로 생각되는 정의 관념이 반영되어 있을 것이다. 우리는 정의의 여신을 통하여 정의 관념의 변화를 추측할 수도 있다.
We often confront ‘Lady justice’(Iustitia) standing in front of courts, public offices, universities or law schools. Iustitia has various shape depending on the thought of justice. ‘Iustitia’ understood as Lady Justice came from ‘iustitia’ which means ‘justice’ in Latin language and is relevant to ‘ius’(law or right) or ‘iustum’(just). The original form of this goddess can be found in the ancient Egyptian artifacts. That is so called ‘Maat’(or ‘Ma’at’), which uses the scale at the last judgment. In ancient Greek Mythology, we have to look over Themis and Dike which are the symbols of justice. Meanwhile, in the ancient Rome, at first there was not the Lady Justice, which could be relevant to the notion of the justice in Rome(“Iustitia est constans et perpetua voluntas ius suum cuique tribuens”), the tradition of practicalism, or the interest in the private law. But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Greece, we can find something like the lady justice in Rome as well gradually. Afterwards Lady Justice was not seen as a goddness but became a symbol of the virtue in the works of art, and then remained as the symbol of justice until now. The symbols that Iustitia is bearing are generally scale and sword. Scale means balancing, and sword is the symbol of rigidness but sometimes punishment. The blindfolded Iustitias can gradually be seen, the origin of which probably can be found in the Middle Ages. It is said that in the Middle Ages the blindfolded Iustitia has meaning of sarcasm, as ‘blind’ is usually used negatively. But, after the blindfolded Iustitia has emerged, it gets to b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such as impartiality. By the way, the symbols are not restricted so that there are Iustitias having books, and some modern works do not holding symbols. What Iusitia is holding or how she looks like reflects the jusitice which was recognized by one who made it or his contemporaries. We can trace the notion of justice with the development of Iustitia.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Law School > Law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Han, Seung Soo photo

Han, Seung Soo
법학전문대학원 (법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