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조직 내 여성비율과 가족친화제도가 남녀근로자의 이직률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 of The Proportion of Women and The Family-Friendly System on The Turnover Rate of Male and Female Employees

Authors
김효선이수연
Issue Date
Nov-2017
Publisher
한국인사관리학회
Keywords
이직률; 여성비율; 여성 관리자 비율; 가족친화제도; 초과근무시간; 장시간근로; 토크니즘; 맥락 발현 이직 이론; 위계적 회귀 모형; Turnover Rate; Female Ratio; Female Manager Ratio; Family Friendly System; Overtime; Tokenism; Context-Emergent Turnover Theory
Citation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41, no.4, pp 87 - 113
Pages
27
Journal Title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ume
41
Number
4
Start Page
87
End Page
113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5301
DOI
10.36459/jom.2017.41.4.87
ISSN
1229-3520
Abstract
근로자의 이직은 근로자의 재교육 비용을 발생시키며 특히 여성의 경우 경력단절을 유발 시킨다는 점에서 중요한 이슈이다. 본 연구는 여성의 노동시장참여 증가에 따른 여성친화적인 조직환경의 변화가 근로자의 이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조직 단위에서 조직 내 여성 비율, 특히 여성 중간관리자 비율, 여성 상위관리자 비율이 남녀근로자의 이직률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 가족친화제도 도입과 활용, 초과근무시간이 남녀근로자의 이직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연구원의 사업체패널자료 중2011년과 2013년 사업체 패널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여 남녀근로자의 이직에 대한 검토를 하였다. 분석 방법은 위계적 회귀 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여성 비율의 증가와 가족친화제도 및 초과근로시간은 여성 근로자의 이직률을 낮추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오히려 전체 여성 비율의 경우 여성비율이 증가할수록 여성 이직률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남성이직률의 경우 여성중간관리자 비율, 여성 상위관리자 비율의 증가는 남성이직률을 모두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족친화 제도 도입은 여성이직률을 감소시키는 효과는 없었으나 남성 이직률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초과근로시간과 이직률의 관계는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향후의 여성비율과 가족친화정책에 관한 연구가남성 및 여성근로자를 함께 고려하여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의 결과 및 한계점은 논의에 제시하였다.
Since the study of Kanter(1977), there has been an increased interest in how the proportion of female employees in the workplace shape their behavior and career advancement opportunities. In addition, the effects of women-friendly organizational climates on female employee turnover have been gaining attention.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effect of female workforce participation ratio within organization on the turnover rate of female and male employees in the workplace. Moreover, we examine the introduction and implementation of family-friendly system and the impact of overtime on employee turnover rate. In order to carry out this study, we utilized the Korean Labor Institute’s Workplace panel data collected in 2011 and 2013. We appli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ur study showed that the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women in the workplace did not result in higher turnover rates of women. Introducing family-friendly system and employee overtime also did not reduce female turnover rate. However, the proportion of women in managerial positions increased male turnover rates. Furthermore, the adoption of family-friendly system were found to reduce the turnover rate of men.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time and male turnover rate was not significant. The results suggests that family friendly system and proportion of women affect not just female employees, but also male employees, and that the effect of family friendly initiatives or gender equity initiatives should be examined for both male and female employee.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Business & Economics >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Hyo Sun photo

Kim, Hyo Sun
경영경제대학 (경영학부(서울))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