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조직문화 유형이 여성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효과Influence of organizational culture typ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female employee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uthors
윤종민이희수
Issue Date
Oct-2017
Publisher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Keywords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Commitmen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Retail Industry; Female Employees; 조직문화; 조직몰입; 변혁적 리더십; 유통업; 여성 구성원
Citation
호텔경영학연구, v.26, no.7, pp 147 - 165
Pages
19
Journal Title
호텔경영학연구
Volume
26
Number
7
Start Page
147
End Page
16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5314
DOI
10.24992/KJHT.2017.10.26.07.147.
ISSN
1226-8747
Abstract
본 연구는 조직문화 유형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이 영향 관계에서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업종 특성상 여성 리더 육성이 시급하다고 생각되는 유통업에 종사하는 여성 구성원들로 하였으며, 연구문제 분석을 위해 이 여성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2016년 4월 22일부터 2016년 5월 9일까지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809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 목적 검증에 부합하는 분석을 진행하기 위하여 SPSS 21.0과 AMOS 21.0를 사용하여 변인 간 인과 및 영향관계와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첫째, 과업지향문화를 제외한 관계지향문화, 위계지향문화, 변화지향문화는 모두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변혁적 리더십은 관계지향문화 및 변화지향문화와 조직몰입간의 관계에서는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위계지향문화 및 과업지향문화와 조직몰입간의 관계에서는 조절효과를 보였다. 이 때, 과업지향문화의 경우 독립적으로는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리더가 변혁적인 리더십을 발휘할 때에는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는 조직문화를 형성하거나 변화시키는 데에는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리더의 효과적인 리더십 개입이 상대적으로 조직에 더 도움이 된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통업에 종사하는 여성 구성원의 조직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장기적 관점에서는 관계지향문화로 조직문화를 개선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더불어 단기적 관점에서는 리더가 효과적으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도록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 개발 및 개입의 노력이 필요하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organizational culture typ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from prospective female leaders in the retail industry. In order to confirm the hypothesis, data was accumulated via distribution of self-administered survey questionnaires to female employees of positions between senior assistant and manager in six representative sectors of the retail industry, notably department store, discount store, convenience store, duty-free shop, online shopping, and home shopping. A sum of 809 responses were gathered, which was subsequently processed using SPSS 21.0 and AMOS 21.0. The provided results of analysis produc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mong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clan culture, hierarchy culture and adhocracy culture showed a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le market culture did not. Seco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displayed a moderating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regard to hierarchy culture or market culture, but not on the clan culture or adhocracy culture. While the market culture is incapable of positively affecting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female employees independently, the incorporation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measures was shown to induce positive effects. Putting into consideration the extensive time consumption required for the composi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which involves considerable devotion and resources, the introduction of a competitive form of leadership that utilizes less time and resources can be regarded as a more efficient measure. Therefore, this study offers the conclusion that the collective effort for conversion into the clan culture and the advancement and adoption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required to ameliorat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female employees in the retail industry.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Hee Su photo

Lee, Hee Su
사범대학 (교육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