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국내 거주 중국동포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망에 대한 질적 연구

Authors
박재영강진구노자은
Issue Date
Apr-2017
Publisher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Keywords
Qualitative Research; Chinese compatriots; institutional youth; non-institutional youth; and social networks; 질적 연구; 중국동포; 청소년; 제도권; 비제도권; 사회적 관계망
Citation
다문화콘텐츠연구, no.24, pp 63 - 97
Pages
35
Journal Title
다문화콘텐츠연구
Number
24
Start Page
63
End Page
97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5795
DOI
10.15400/mccs.2017.04.24.63
ISSN
2092-5042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거주 중국동포 청소년은 누구와 주로 관계를 맺으며, 이들의 사회연결망은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가, 그리고 중국동포 청소년의 사회연결망은 이들의 한국사회 적응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기존 SNA의 장점과 질적 연구의 특성을 살린질적 네트워크 분석(Qualitative Network Analysis: QNA)을 통하여 주체와타인과의 연결 파악하고 개인이 부여하는 타인과의 관계에 대한 의미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QNA와 동시에 반구조화 질문지를 사용하여 보다심층적으로 중국동포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면접조사는 20명의 중국동포 청소년 사례자를 대상으로 2차에 걸쳐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두 집단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두 집단 간의 두드러진 차이점은 응답자의 부모님이 이혼하거나재혼한 경우가 제도권과 비제도권의 경우를 비교할 때 비제도권의 비율이더 높았으며(43.75% VS 50%), 이러한 차이는 자녀의 정규 교육과정 재학율의 차이로 나타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면접조사 결과 ‘학교’ 또는 비제도권 청소년의 경우 ‘학원’의 범주에 대한선호도는 ‘가족, 친구, 학교, 네트워크 주체 지정영역’ 중에서 가장 낮은 선호도를 보이고 있었다. 학업 보다는 학교(또는 학원) 친구관계에 보다 큰의미를 부여하고 있다는 것이 공통점이다. 두 집단 간의 차이점은 제도권내 청소년들이 고등학교 졸업장이라도 받아서 사회에 진출하고자 하는 의지가 엿보이지만, 비제도권 청소년의 경우 ‘학원’에서의 직업교육을 받고자격증을 취득하려는 의지와 노력이 결여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울러, 비제도권에 속해 있는 중국동포 청소년의 경우는 제도권에 속한청소년에 비하여 사회적 관계망 형성이 제한적이었다. 또한, F4비자 취득이나 한국 사회에서의 적응이 어려울 경우, 다시 중국에 가서 일자리를 찾으려는 경향이 강하며 한국 사회에 대한 소속감 또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ain relationship between Korean youths living in Korea and their social network, an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social network of Korean youth on their adaptation process. Through the qualitative network analysis (QNA), we tried to identify the connection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person, and to confirm the meaning of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At the same time, we used QNA and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in order to grasp social networks of Korean-Chinese youths in 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20 Korean-Chinese youth, and the second round was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wo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irst, the striking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the higher proportion of non-institutional rights (43.75% vs 50%) when respondents' parents divorced or remarried. These differences were found to be due to differences in the enrollment rate of children in formal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survey, the preference for the category of ‘school’ for the non-institutionalized youth showed the lowest preference among ‘family, friend, school, and network subject designation area’. It is common that school friendship is more meaningful than school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s that young people in the system have a desire to get a high school diploma and enter the society, but in the case of non-institutional youth, there is lack of willingness and efforts to acquire vocational education. In the case of Korean-Chinese adolescents belonging to the non-institutional system, social networking was limited in comparison with youth in the system. In addition, when it is difficult to acquire F4 visa or adapt to Korean society, They tend to go to China again to find a job, and the sense of belonging to Korean society is also low.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Da Vinci College of General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