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몰입형 미디어아트를 활용한 체험형 전시 사례분석 -‘TeamLab: Life’를 중심으로-Analysis of experiential exhibition cases using media art -focus on ‘teamLab: Life’-

Authors
이소영
Issue Date
Mar-2022
Publisher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Keywords
미디어아트; 체험형 전시; 상호작용; Media art; hands-on exhibition; interaction
Citation
만화애니메이션연구, no.66, pp 389 - 412
Pages
24
Journal Title
만화애니메이션연구
Number
66
Start Page
389
End Page
41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57991
DOI
10.7230/KOSCAS.2022.66.389
ISSN
1738-009X
Abstract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로 정보활용도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영상 이미지는 시각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비언어적인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도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단순히 사용자가 정보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던 단방향 커뮤니케이션에서 정보를 습득하고, 습득된 정보를 활용하는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으로의 변화는 상호작용을 활성화한다. 오늘날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전은 미디어아트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체험형 전시의 발전을 촉진했으며, 이에 따라 관객들은 단순히 정보를 습득하는 일방적인 수용 태도에서 작품에 직접 참여하고, 작품과 상호작용하는 능동적인 참여자의 형태로 변화되었다. 체험형 전시는 관객에게 다양한 감각 기관을 활용하여 예술에 참여할 수 있는 매개체의 역할을 해주었으며, 참여를 유도하는 커뮤니케이션의 효과를 극대화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체험형 전시인 미디어아트가 관객과의 소통을 이끄는 사례를 분석하고, 관객과의 상호작용을 활성화하는 감각 기관인 후각, 미각, 촉각, 청각, 시각을 바탕으로 미디어아트 전시 ‘teamLab: Life’를 분석하였다. 몰입형 미디어아트의 사례분석으로 ‘빛의 벙커’와 ‘뮤지엄다’를 분석한 결과, 디지털화된 영상에서 하나의 주제로 보이는 스토리텔링과 음악적 조화는 관객과의 상호작용을 극대화해준다. 이는 몰입형 미디어아트의 특성 중 하나이며, 더구나 촉각을 이용한 상호작용이 더해진 실감형 미디어아트 전시 ‘teamLab: Life’는 실시간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통한 실감형 미디어인 동시에 몰입형 미디어아트로써 관객과 직접적인 소통을 강조한 전시라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 몰입형 미디어아트를 활용한 체험형 전시의 기능은 관객의 이해도를 높여, 관객의 시선에서 작품과의 커뮤니케이션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체험형 전시는 지속 가능한 기술 발전과 콘텐츠 다양화를 통해서 미디어 아트 전시를 활성화 해야한다. 이는 관객이 능동적으로 다양한 감각기관을 활용해 미디어아트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기반을 필요로 한다. 향후 미디어아트 전시와 작품의 기술 발전에 따른 지속적인 연구에 기여하고자 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dvanced Imaging Sciences, Multimedia and Film > Department of Imaging Science and Art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