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독일 실험 애니메이션 <균형>의 서사 분석 연구A Study on the Analysis of Graphic Language in Abstract Animation

Authors
후웬정김재웅
Issue Date
Mar-2022
Publisher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Keywords
실험애니메이션; 밸런스(균형); 서사방식; The experimental animation; Balance; Narrative
Citation
만화애니메이션연구, no.66, pp 235 - 252
Pages
18
Journal Title
만화애니메이션연구
Number
66
Start Page
235
End Page
25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57992
ISSN
1738-009X
Abstract
실험 애니메이션은 아방가르드적인 예술영화이다. 실험 애니메이션은 작가주의 애니메이션의 이데올로기적인 표현형식으로 전통 애니메이션의 경계를 넘어 새로운 영역을 개척해 왔다. 실험 애니메이션의 서사 방식은 작가의 생각을 표현하는 주요 수단으로 애니메이션의 내용과 형식의 분석과 해석에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애니메이션 <균형>(Balance)은 독일의 프로듀서이자 애니메이션 아티스트인 크리스토프 라우엔슈타인(Christoph Lauenstein)과 울프강 라우엔슈타인이(Wolfgang Lauenstein)1989년에 제작한 단편 실험 애니메이션으로 1990년 제62회 아카데미 단편 애니메이션상을 수상했다. 실험적인 애니메이션 <균형>은 러닝타임 7분인 애니메이션이지만 독일인 특유의 표현방식으로 ‘인간성이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양상’을 균형의 요체로 표현했다. <균형>은 간결하고 대사가 없는 특수한 서사 방식으로 인간의 본성을 원초적으로 보여주며 관객의 마음속 깊이 인간관계를 성찰하게 한다. 직관적이면서 은유적인 표현으로, 가상의 무대이면서 동시에 현실의 인간관계를 둘러싸고 있는 인간의 원시적인 욕망을 잘 표현하였다. 실험 애니메이션의 조형 언어 분석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주로 시각적 표현 방식을 분석하지만, 최근 다양한 표현형식과 소재가 애니메이션에 수용되면서, 서사에 있어서도 표현방식이 개성적으로 다양해지면서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 애니메이션, 특히 실험용 애니메이션 서사에 대한 이론적 연구가 거의 진행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비록 독일의 실험용 애니메이션 <균형>의 서사 분석 연구이지만, 애니메이션<균형>의 캐릭터의 조형, 색채, 대사, 도구 및 사용되는 숫자의 의미를 분석하여, 이 작품에 등장하는 캐릭터와 다양한 조형 요소들의 내재적 연계와 이론적 해석을 통하여 작품 수용에 있어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기를 바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dvanced Imaging Sciences, Multimedia and Film > Department of Imaging Science and Art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Jae Woong photo

Kim, Jae Woong
첨단영상대학원 (영상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