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1920∼30년대 중반 인천공회당과 조선인 사회의 공론 형성Incheon Public Hall and Formation of Public opinion in Korean Society in the 1920s and the mid-1930s

Authors
정소현장규식
Issue Date
Apr-2022
Publisher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Keywords
Culture Sovereignty; Colonial public sphere; Incheon; Public Hall; Korean; 문화통치; 식민지 공론장; 인천 지역; 공회당; 조선인 사회
Citation
중앙사론, no.55, pp 83 - 128
Pages
46
Journal Title
중앙사론
Number
55
Start Page
83
End Page
12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58047
DOI
10.46823/cahs.2022.55.83
ISSN
1229-3652
Abstract
3·1운동 이후 문화통치의 시행으로 집회 결사의 자유가 제한적으로 허용되면서 조선인 사회는 각종 단체를 조직하여 전국적으로 집회 활동을전개했다. 조선인 단체들은 극장, 공회당 등의 집회 시설을 활용하여 강연회, 회의, 모금회, 연극, 음악회 등 다양한 행사를 개최했다. 이에 따라 1920 ∼30년대 내내 극장과 공회당은 사회문제를 토로하고 해결책을 강구할 수있는 조선인 사회의 공론장으로 활용되었다. 본 논문은 1920∼30년대 극장, 공회당이 조선인 공론장으로 활용된 상황이 전국적으로 발생한 보편적인 현상임을 밝히기 위한 지역사례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인천지역의 조선인 집회장으로 활용된 인천공회당(仁川公 會堂)을 중심으로 식민지 시기 인천의 지역 공론장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인천공회당은 조선인 마을과 일본인 마을의 경계이자 공공시설 구역에세워지면서 두 민족이 활발하게 지역 현안을 표출하는 공공 집회장으로이용되었다. 1920년대 내내 정치, 문화적 공론장으로 활용되던 인천공회당은 식민권력의 통치 노선 변화에 따라 외형이 점차 축소되었다. 1925년 치안유지법의 시행으로 정치적 집회 활동은 크게 제한되었고, 1931년 우가키 총독의 부임과 함께 공론장의 통제가 강화되어 정치적 공론장 기능을상실했다. 이후 모금행사장으로만 활용되던 공회당은 일본의 군국주의화와 함께 1936년 미나미 조선 총독이 부임하면서 문화적 공론장 기능마저상실했다. 이처럼 식민권력의 감시와 통제로 제한된 공론장으로의 진입은 조선인에게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다. 그러나 조선인들은 식민권력의 억압에도 우회적 방식의 정치적 의사 표출, 자구책으로서의 모금 활동, 일본인 사회와의 지역 운동 연대를 통해 1920∼30년대 중반 내내 공론장의 행위 주체로서 입지를 굳건히 했다. 따라서 제한된 통로를 비집고 들어가 민족 집회장을 마련하려는 인천 조선인 사회의 노력은 단순히 저항하는 차원이 아닌 자치적 민간 영역의 확보라는 차원에서 평가될 필요가 있다.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Department of Histor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ang, Kyu Sik photo

Chang, Kyu Sik
인문대학 (역사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