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일본 물질문화 관련 학문의 방법론의 의의와 과제

Authors
임장혁
Issue Date
2017
Publisher
비교민속학회
Keywords
Folklore; Mingu studies (民具學); Modernology (考現學); Lifeology; Trend; Production; Consumption; 민속학; 민구학(民具學); 고현학(考現學); 생활학; 유행; 생산; 소비
Citation
비교민속학, no.62, pp 39 - 61
Pages
23
Journal Title
비교민속학
Number
62
Start Page
39
End Page
6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5809
ISSN
1598-1010
Abstract
일본민속학은 초기에 연구대상으로 물질문화를 포함하여 민속학의 한 갈래로서 이를 ‘민구론’이라 하였다. 그러나 1980년대에 민구(民具)에 관한 연구는 민구학으로 독립하여 민중이 생산․생활하는 데 사용하는 도구의 제작기술을 해명하고 문화의 시원․보급․정착․복합하는 추구하며 인간을 생태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전개하였다. 민구학은 역사민속학과 생태민속학의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성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전통도구를 주요 연구대상으로 하는 민구학은 현대인의 생활도구의 연구에는 한계성을 갖고 있다. 즉 역사적 또는 생태학적인 방법론은 도구의 제작기술과 소재의 변화과정을 연구하기에 유효하나 현대의 공산품인 생활도구가 유통민구이기에 기존의 방법론으로 적용할 수 없다. 현대물질문화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고현학과 생활학은 현대인의 의식주생활을 중심으로 유행의 과학 또는 일상성을 대상화하고 연구비판하는 학문으로 등장하였다. 고현학은 고고학에 대응하는 학문으로 시작하여 1920년대 서양의 복식이 일본에 수용되면서 나타난 유행의 변화 과정을 과학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기상학의 방법을 응용하였다. 또한 현대인의 의식주생활의 변화과정이나 풍경을 민속지가 아닌 스케치나 조감도로 기록화 하였다. 고현학은 현대인의 유행의 변화를 이해하는데 유익하지만 복잡한 현대인의 소비생활구조를 학문으로 접근하는 데 한계성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생활학은 주거공간과 가족구성원과 생활도구나 용품의 관계를 해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물건이나 도구는 공간을 차지하고 있으며 사용자나 관리자의 행동범위 내에 자리를 잡고 있기 마련이다. 즉 생활학은 인간과 공간 그리고 물품과의 관계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의미가 있다. 민구학이 민중이 생산생활에 중점을 두었다면 고현학과 생활학은 소비생활을 연구하는 차이를 나타낸다. 즉 물질문화의 연구에 있어 전통사회에는 생산생활이 현대에는 소비생활이 주요 관점이 되고 있다. 물질문화연구에 있어 소비와 생산에 대한 균형적 관점에서 연구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An academic subject is recognized for independent research when it has own research targets, methodology, and objectives. Japanese folklore was initially called mingu-ron (material culture theory) as a branch of folklore because it included material culture as a research subject. In the 1980s, the mingu-ron was independent, but it has evolved into a science of human ecological researchthat explains the techniques of tool making and the establishment and diffusion of culture. However, it is difficult to study the tools of modern people. In other words, historical or ecological methodology is effective in studying the process of making tools and the changing materials, but this conventional methodology cannot be applied because modern tools are mostly industrial products. As a study of contemporary material culture, modernology (考現學) and lifeology have emerged to study trends and critique the everydayness of modern lifestyles including food, clothes, and housing. Modernology started alongside archeology and adopted the meteorological methods to measure the changes in fashion as Western clothes were accepted into Japan in 1920s. In addition,it recorded the process and landscape of modern people with a picture or a bird’s eye view. Modernology is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changes of modern trends, but it also shows limitations in approaching the complicated contemporary consumer life structure. On the other hand, lifeology is aimed at elucidating the relationships among residential space, family members, and lifestyle supplies. Objects or tools occupy space and are positioned within the behavior of the users. In other words, lifeology is meaningful to study scientif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space and goods. If mingu study is focused on production process, modernology and lifeology differ by studying consumers’ lives. In the study of material culture, the production life is emphasized in traditional society, and consumer life in the modern society. Research methodologies should be balanced between consumption and productio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