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제련소 주변 지역 주민들의 혈중 중금속 농도와 혈압과의 관련성The Association of Blood Concentrations of Healvy Metals and Blood Pressure in Residents Living Near Janghang Copper Smelter in Korea

Authors
엄상용임동혁문선인버룰마최영숙박충희김근배유승도최병선박정덕김용대김헌
Issue Date
Mar-2017
Publisher
한국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Keywords
Blood pressure; Cadmium; Copper smelter; Lead; Mercury
Citation
농촌의학.지역보건, v.42, no.1, pp 13 - 23
Pages
11
Journal Title
농촌의학.지역보건
Volume
42
Number
1
Start Page
13
End Page
23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5813
DOI
10.5393/JAMCH.2017.42.1.013
ISSN
1738-9577
Abstract
이 연구는 장항제련소 주변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중금속 노출에 의한 인체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된 환경역학조사 결과 중 혈중 중금속 농도와 혈압 사이의 관계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는 제련소에서 4km 이내에 거주하는 570명의 30세 이상 성인 남녀가 포함되었으며 남녀별로 혈중 카드뮴, 수은 및 납 농도를 각각 3분위로 나눈 후 군별로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의 차이를 각각 비교하였다. 또한, 다중회귀 분석을 통하여 남녀별로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에 영향을 주는 위험요인으로서의 중금속을 파악하였다. 남자의 경우는 혈중 카드뮴과 수은의 농도별 군에 따라 수축기 혈압 및 이완기 혈압의 평균에 유의한차이를 보였으나 여자의 경우는 모든 중금속의 3분위군에서 수축기 및 이온기 혈압의 평균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중 회귀 분석의 결과에서는 남자의 경우 연령과 체질량 지수 그리고 혈중 카드뮴 농도가 혈압에 영향을 주는 위험요인으로 나타났고, 여자의 경우는 연령과 체질량 지수, 음주 및 흡연, 그리고혈중 수은이 혈압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종합해보면, 장항 제련소 근처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일반인구집단과 비교해 볼 때, 매우 높은 농도의 혈중 카드뮴, 납 수치를 보여 이들은 과거 직업적 또는 환경적으로고농도의 중금속에 노출된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고농도 노출 집단에서의 유해 중금속 노출, 특히 카드뮴과 수은이 혈압 상승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확인되었다. 따라서 이들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중금속 노출을 예방하기 위한 노력과 혈압 및 심뇌혈관질환 발생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이루어져야 할것으로 판단된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a relationship between the blood concentrations of toxic metals and the blood pressure in people living near the copper smelter. Methods: The study included 570 adults living within 4km of the smelter. We compared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between tertiary groups for blood cadmium, mercury and lead levels, respective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risk factors affecting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s. Results: In male subject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of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between tertiary groups of blood cadmium and mercury levels, but in wome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s in all tertiary groups of heavy metals.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ge, BMI, and cadmium concentration in men were risk factors for blood pressure. In women, age and BMI, drinking and smoking, and blood mercury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to blood pressure. Conclusions: Residents living near the Janghang smelter showed high concentrations of blood lead and cadmium, suggesting that they were exposed to high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released from the smelter in the past. Such exposure may have caused some blood pressure increase. Especially, the concentration of cadmium in the case of men and the concentration of mercury in blood in the case of wome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ncrease of blood pressure. The local population should be advised to make efforts to reduce exposure to environmental contaminants, in order to minimize cardiovascular disease, and to pay close attention to any health problems possibly related to toxic metal exposure.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Medicine > College of Medicin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oi, Byung-Sun photo

Choi, Byung-Sun
의과대학 (의학부(기초))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