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효율적 사회봉사명령제도를 위한 행동분석적 접근:언어적 피드백과 봉사활동선택 기회제공이 사회봉사명령이수 청소년들의 지각과 무단결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증The effects of providing feedback and opportunity to choose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for juveniles on their tardiness and absenteeism

Authors
오세진김현주임영식황지은
Issue Date
Dec-2000
Publisher
한국청소년학회
Citation
청소년학연구, v.7, no.2, pp 221 - 245
Pages
25
Journal Title
청소년학연구
Volume
7
Number
2
Start Page
221
End Page
24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58743
ISSN
1229-6988
2733-9289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봉사명령 이수를 명령받은 청소년들의 지각 및 무단결석 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행동분석적 기법(피드백 및 봉사활동 선택 기회 제공)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해보는 것이었다. 연구에 포함된 피험자들은 49명(남자 48명, 여자 1명)의 사회봉사명령이수를 명령받은 범죄 청소년들이었다. 피험자들은 세 집단으로 할당되었으며, 각각의 집단은 세 가지 종류의 처치(두 종류의 처치 조건 및 통제 조건)를 받았다. 첫 번째 집단에 속한 피험자들은 자신들의 지각이나 결석 상황에 대한 언어적 피드백을 매일 받았으며, 두 번째 집단에 속한 피험자들은 당일 지각을 하지 않았을 경우와 그 전날 결석을 하지 않은 경우에 한하여 다양한 봉사활동 중에서 본인이 선호하는 봉사활동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았다. 나머지 한 집단에 속한 피험자들은 통제집단으로서 어떠한 처치도 받지 않았다. 그리고 연구의 종속변인은 (1) 결석의 회수, (2) 지각의 회수, (3) 지각 시간의 양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연구 결과, 두 처치 집단의 지각 회수가 통제 집단의 지각 회수보다 유의미하게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결석 회수의 경우에 있어서는 세 집단의 평균이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각 시간의 양에 있어서는 봉사활동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는 집단이 언어적 피드백을 제공받은 집단과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해석 및 현실적 실용 가능성 등에 대한 여러 가지 논의점에 대한 토의가 이루어졌으며, 앞으로의 연구에 대한 제안 등이 이루어졌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roviding feedback and opportunity to choose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for the juveniles on their tardiness and absenteeism. Subjec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49 adolescents(48 males and 1 female) who convicted crimes and were given orders to conduct community service in social welfare institutes.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groups and subjects in each group were exposed to three different kinds of treatments. The subjects in one group(feedback group) received verbal feedback concerning their attendance and punctuality every morning. The subjects in another group(choice group) were given opportunity to choose a service activity they prefer. And the subjects in the final group(control group) received no treatment. Dependent variables in the study were (1) the frequency of absence, (2) the frequency of tardiness, (3) the amount of tardines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frequencies of tardiness of feedback and choice group were significantly less than those of control group. However, the three groups did not differ with respect to the frequency of absence. With respect to the amount of tardiness, the choice group was significantly better than the other two group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proposed.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Sociology > 1. Journal Article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Psych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