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조직 내 성공적 일·삶 양립을 위한 집합적 워크 크레프팅(Collective Work Crafting)- 병원사례를 중심으로Collective Work Crafting as Successful Mechanism for Work-Life Balance in Organization

Authors
강혜정강혜선구자숙김효선
Issue Date
Mar-2017
Publisher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Keywords
Work Life Balance; Dual Agenda; Collective Work Crafting model; CIAR; 일-삶 양립; 듀얼 아젠다; 집합적 워크 크레프팅 모형; 상호협조적 실천연구
Citation
인적자원개발연구, v.20, no.1, pp 305 - 336
Pages
32
Journal Title
인적자원개발연구
Volume
20
Number
1
Start Page
305
End Page
33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5883
DOI
10.24991/KJHRD.2017.03.20.1.305
ISSN
1598-1835
Abstract
본 연구는 조직 내 일 삶 양립 정착을 위한 조직변화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실제 조직의 변화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일 삶 양립과 관련한 기존 연구들은 근로자 개개인의 입장에서 일 삶 양립이 이루어지지지 못하는 원인에 대해 주로 밝혀왔다. 그러나 일 삶 양립을 위해서는 본질적으로 일의 구조 및 체제가 변화함으로써 비합리적 일하기 문화가 변화해야 한다. 이러한 실정에 대해 본 연구는 실질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국내 일 가정 양립 관련 실무 현실과 연구를 위한 대안으로 집합적 워크크레프팅(Collective work crafting)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사례는 실제 조직변화가 수행된 과정에 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변화 실행의 방법론으로는 상호협조적 실천연구(Collective Interactive Action Research)가 사용되었다. 변화를 실행하고 얻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성공적인 변화 실행과 정착이 가능했던 해당 병원 조직에서는 다음의 네 가지 특징이 나타났다. 첫째, 근로형태만 유연화하는 것이 아니라 일하는 방식 개선이 함께 이루어져야 하며, 둘째, 변화추진 과정에서 조직원이 주도적으로 참여해야 하며, 셋째, 조직변화가 일 삶양립 지원을 목적으로 한다는 인식이 명확해야 하며, 넷째, 구성원의 집합적 의사결정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다시 말해, 조직 내 성공적인 일 삶 양립 문화 정착을 위해서는 근로자 주도로 이루어지는 부서수준의 일하는 방식의 변화를 통해 일과 관련한 비합리적 규범 및 문화 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작은 성공경험은 조직 구성원들이 지속적인 조직 변화를이어가게 하는 중요한 지점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향후 일 삶 양립 및 가족친화 이슈에 관련한 연구나 조직의 인적자원개발 실무에서 도움이 되는 통찰들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As many researchers have pointed(e.g., Perry-Smith & Blum, 2000; Kelliher & Anderson, 2009), flexible work arrangements can be very useful both for employees and the company. Despite these benefits, these practices are considered as having limited influence in many organizations(Perlow & Kelly, 2014). For the limited effects from flexible work arrangements, many experts say that it cannot be fundamental solutions just to provide resources for time or space to deal with employees’ work and family problems(e.g., Rapoport, Bailyn, Fletcher, & Pruitt, 2002; Perlow & Kelly, 2014). They insist, instead of giving just some practices to employees, the way of working and work related norms or assumptions have to be changed to remove the root cause in work and family problems.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reveal how to achieve ultimate work and family balance and to give the entire pictures of the process for organizational change. This study aim to shed light on employees’ work and family issues by show the clear stages and examining why it is essential. Particularly, we focus 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shared norms change beyond existing approaches. To do this, we uses case analysis method that describe phenomena with various related data during certain period in organization. We follow the case analysis stage from Tellis(1997) and the approach for project implementation is CIAR method(Collaborative and Interactive Action Research methodology) from Rapoport and colleagues(2002). For the finding from the case, attempts to meet the dual agenda goals which contain work and family balance as well as performance let the organizational change process progress satisfactory. This study explains findings from the case with collective work crafting model. Explanations and perspectives in this paper may provide a new framework for employees’ work and family balance and several practical implication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Business & Economics >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Hyo Sun photo

Kim, Hyo Sun
경영경제대학 (경영학부(서울))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