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코로나 팬데믹이 댄스미디어에 미친 미학적, 사회적 영향The Aesthetic and Social Impact of the Pandemic on Dance Media

Authors
정옥희
Issue Date
Feb-2022
Publisher
대한무용학회
Keywords
COVID-19; Dance Media; Dance Film; Technocentrism; Critical Making
Citation
대한무용학회 논문집, v.80, no.1, pp 305 - 323
Pages
19
Journal Title
대한무용학회 논문집
Volume
80
Number
1
Start Page
305
End Page
323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61641
DOI
10.21317/ksd.80.1.17
ISSN
1598-4672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댄스 미디어 장의 형성 과정을 살피고 코로나 팬데믹이 미친 미학적, 사회적 영향을 살핀다. 팬데믹 이전에 한국 무용계에서 댄스 미디어의 장이 제도적 기반 및 추진력의 부족으로 느리게 형성된 것에 비해 팬데믹 이후에는 춤의 매체화에 대한 공적 지원이 집중되면서 급격히 활성화되었다. 한국 특유의 예술에 대한 공적지원금 제도가 댄스 미디어 장의 느린 형성과 급속한 활성화에 모두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미학적으로 볼 때 코로나 팬데믹은 댄스 미디어의 기존 구조, 즉 라이브 공연과 매체화된 공연 사이의 이분법적이고도 위계적인 관계 및 장르 구분을 흐려놓았다. 이를 문제적이라 보는 경향과는 달리 본 연구자는 모호함이 가진 힘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댄스 미디어를 고정된 실체가 아닌 유동적인 실천 행위로 볼 것을 제언한다. 사회적으로 볼 때 팬데믹이 기술중심주의와 기술민족주의를 부추기는 상황에서 댄스 미디어에서도 기술소외와 기술격차의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예술가나 학자가 기술에 종속되지 않고 비판적으로 개입할 것을 주장하는 ‘비판적 제작’ 개념을 통해 댄스 미디어 장에서도 기술적인 매끈함이나 완성도보다 과정중심적인 작업이 장려되어야 함을 제언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Arts > School of Performing Arts and Media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