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탈( 脫 )재현적 드라마에 관한 양가적 비평 -사무엘 베케트의 후기 작품 <NOT I>를 중심으로-Ambivalent Critique of Non-Representational Drama -Focusing on Samuel Beckett’s Later Play Not I-

Authors
서종현
Issue Date
Feb-2022
Publisher
한국드라마학회
Keywords
Non-representational drama; Ambivalent critique; Samuel Beckett; Later play; Not I; 탈(脫 )재현적 드라마; 양가적 비평; 사무엘 베케트; 후기 작품; <Not I>
Citation
드라마 연구, no.66, pp 247 - 273
Pages
27
Journal Title
드라마 연구
Number
66
Start Page
247
End Page
273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61666
DOI
10.15716/dr.2022..66.247
ISSN
1738-9267
Abstract
본 연구는 20세기 전반에 걸쳐 전개된 탈(脫)재현적 드라마(반(反)아리스토텔레 스적 연극)의 특성을 양가적 관점에서 비판한다. 이는 본 연구가 드라마 예술의 재 현 가능성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작품 속에서 화자의 심리와 독자의 경험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작품이 표명하는 의미와 그 의미를 표현하는 방식을 구분하여 살펴 보려는 취지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표는 텍스트 속 화자의 심리 상태와 화자 를 대리하여 심리를 표출하는 입의 발화행위를 경험하는 독자의 감각을 연계하여 의미 탐색에 관한 무상함과 허망함을 나타내는 베케트 후기 작품이 지닌 다성적(多 聲的) 의미들을 구체화하는 데 있다. 본 논문에서는 베케트의 후기 작품 세계관을 다루기에 앞서 먼저 탈(脫)재현적 드라마의 배경을 이해하고, 당대의 철학적 사상 이었던 구조주의 기호학, 신비평과 독자반응 비평을 점검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베케트의 후기 작품 <Not I>(1972)를 대상으로 실패한 자기 형성에 관한 주 제를 이끄는 화자의 심리 상태와 입의 발화행위를 통해 경험하는 독자의 영향(감 각)에 관해 논의한다. 베케트의 작품들은 인과적인 서사의 전개가 없고 끊임없이 반복되는 전형적인 상황들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극적 형식 연구에 있어서 독자를 매개하는 방식을 살펴보는 데 중요성이 있다. 즉, 베케트의 텍스트에 내재한 숨겨 진 의미를 발굴하고 그 의미들을 형상화하는 표현 방식을 독자의 시각에서 함께 논 의할 때, 작품 읽기 경험을 통한 인간 내면의 깊은 의식 층위에 잠재되어 있는 침체 와 분열을 재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탈(脫)재현적 작품에 관한 해석과 그 의미들이 독자의 경험을 통해 구체화되는 방식을 바탕으로 작품의 더욱 풍부한 의미를 생산한다는 점을 주장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rts > Department of Performance & Visual Media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