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가상현실 무도 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교육 및 현장 활용방안Education and Field Utilization for Activating Virtual Reality Martial Arts Sports

Authors
이제욱김재엽
Issue Date
2020
Publisher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Keywords
무도 스포츠; 가상현실; 4차 산업; 엘리트 스포츠; 생활 스포츠; 학교 스포츠; Martial Arts Sports; Virtual Reality; Fourth Industry; Elite Sports; Sports for All; School Sports
Citation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v.23, no.4, pp 111 - 125
Pages
15
Journal Title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Volume
23
Number
4
Start Page
111
End Page
12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63614
DOI
10.19051/kasel.2020.23.4.111
ISSN
1598-527X
Abstract
본 연구는 가상현실 스포츠가 내제한 가능성과 무도 스포츠의 역할을 전망하고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과정에서 가상현실 스포츠와 무도 스포츠 관련의 각 스포츠 분야별 정책적 실천 사례 대해 탐색하고 한계점 도출과 함께 무도 스포츠의 가상현실 스포츠로의 활성화에 대한 정책적 방향을 도출하였다. 첫째, 무도협회 차원의 가상현실 무도 스포츠 게임 콘텐츠를 이용한 각 스포츠 현장에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정립하는 것이다. 기술, 콘텐츠뿐만 아니라 확실한 교육·훈련 프로그램과 운영방식 등을 확립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둘째, 엘리트 스포츠, 생활 스포츠, 학교 스포츠의 유형에 맞는 가상현실 무도 스포츠 콘텐츠의 개발지원 또한 하나의 방법이다. 새로운 훈련 패러다임을 제시하기 위해, 초보자부터 숙련자까지 남녀노소 모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위해, 신체활동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함양되는 인성 교육 효과를 위해 무도 스포츠 분야의 전문성이 반드시 내제된 가상현실 콘텐츠의 개발이 정책적으로 필요한 시점이다. 셋째, 가상현실 무도 스포츠 콘텐츠을 활용할 수 있는 지도자양성 가이드라인의 마련이 필요하다. 각 종목의 전문성과 IT기술을 이해하고 다룰 수 있는 역량을 지닌 융합형 지도자의 필요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교육지원과 함께 가이드라인 제작과 배포 그리고 온라인 기반의 전문가 양성교육 등이 정책적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고려되어야 할 부분이다. 현대 사회의 스포츠는 첨단 기술에 의해 수동적 참여 방식에서 벗어나 상호작용성, 장소·시간으로부터의 자율성 등을 바탕으로 능동적이고 개인에게 가장 효율적인 활용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무도 스포츠 또한 기술적·산업·사회문화적 흐름과 발전에 동반상승 할 수 있는 가상현실과의 융합적 접근을 정책적·제도적 지원을 통해 실현해야 할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port Science > School of Sports Science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