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인터넷상에서의 집단범주화에 따른 집단성 자각과 내집단 편애 차이 분석The Effects of Group Categorization on Perceived Groupness and In-Group Favoritism on Internet

Authors
김기범김미희
Issue Date
May-2003
Keywords
Internet; Categorization; Ingroup Favoritism; Internet Community; Groupness; 인터넷; 범주화; 내집단 편애; 집단성; 커뮤니티
Citation
미디어 경제와 문화, v.1, no.2, pp 40 - 71
Pages
32
Journal Title
미디어 경제와 문화
Volume
1
Number
2
Start Page
40
End Page
7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65670
ISSN
1599-8258
Abstract
인터넷상에서 집단은 존재하는가? 만일 사람들이 그것을 실재하는 것으로 지각한다면 오프라인에서와 같이 내집단 편애가 존재할 것인가? 그리고 그 의미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상에서의 범주화에 따른 집단성 지각과 내집단 편애에서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했다. 본 연구는 유사실험설계로 실시되었고,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각 실험 조건은 먼저 타지펠(Tajfel)의 최소집단 상황(그림선호에 따른 집단 범주화)에 따른 내집단 편애를 온라인상에서 측정하였고, 이를 동일 커뮤니티 범주화, 동일 연고집단 범주화, 인터넷 채팅을 통한 찬반토론에서 동일한 태도를 가진 집단으로 범주화하여 내집단에 대한 집단성 지각, 내집단 성원에 대한 평가(호감과 친근성), 내집단 성원의 의견에 동조하려는 동조의도, 우리성 지각, 그리고 점수 분배 과제에서 내집단 편애 경향을 비교하는 것이었다. 조건별 집단성 지각과 내집단 편애에 대한 차이 검증 결과, 동일한 커뮤니티에 가입한 사람들을 온라인상에서 만났을 때 동질감, 유사성, 근접성을 지각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한국 문화의 내집단이라 할 수 있는 우리집단으로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동일 커뮤니티 집단에 대해서 동조하려는 동조의도도 높게 나타났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Psych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