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 폐경 및 폐경 주변기 여성에서 골다공증 예측을 위한 자가 측정표 (Osteoporosis Self assessment Toolfor Asian, OSTA)의 유용성The Validational study of OSTA (Osteoporosis Self Assessment Tool for Asian) for Prediction of Osteoporosis in Korean Post-and Perimenopausal Women

Authors
박형무소재성
Issue Date
Feb-2003
Publisher
대한산부인과학회
Keywords
골밀도; 골다공증; 폐경; OSTA; BMD; Osteoporosis; Menopause; OSTA; BMD; Osteoporosis; Menopause; OSTA
Citation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46, no.2, pp 4 - 4
Pages
1
Journal Title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ume
46
Number
2
Start Page
4
End Page
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65763
ISSN
2287-8572
2287-8580
Abstract
목적 : 한국 폐경 및 폐경 주변기 여성에서 OSTA (Osteoporosis Self-assessment Tool for Asians)에 대한 검증을 위해 시행하였다.연구 방법 : 중앙대학교 폐경기 클리닉을 방문한 45세 이상의 폐경 및 폐경 주변기 여성 148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대퇴골두 골밀도의 측정에는 이중 에너지 X-ray 흡수 계측법 (DEXA; Lunar DPXIQ #7055)를 이용하였다. 골밀도는 세계보건기구 (WHO)의 정의에 따라 정상, 골감소증, 골다공증의 3가지로 분류하였다. OSTA는 단지 2가지 변수인 체중과 나이만을 가지고 위험지표를 구한 뒤 고위험군, 중간위험군, 저위험군으로 나누었다.결과 : 대상 환자 중 49.1%인 730명이 낮은 골밀도 (골다공증 10.6%, 골감소증 38.5%)를 차지하였다. OSTA의 중간 위험군과 고위험군에서는 낮은 골밀도에 높은 유병률 (80.3%; 447/557명)를 보였다. 중간 위험군과 고위험군에서는 낮은 골밀도에 대한 높은 특이도 (85.5%)와 유의한 민감도 (61.2%)를 보였다. 또한 이 그룹들은 골다공증에 대해서는 높은 민감도 (87.9%)와 유의한 특이도 (68.5%)를 보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Medicine > College of Medicin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