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상담자의 개입적절성 및 긍정적 태도가 내담자 저항에 작용하는 방식:소수사례에 대한 시계열분석방법의 적용The Impacts of Appropriateness of Counselor's Intervention and Counselor's Positive Attitude on the Client's Resistance: Application of Time Series Analysis

Authors
권희경장재홍
Issue Date
2003
Publisher
한국상담심리학회
Keywords
개입 적절성; 상담자 태도; 저항; 시계열분석; appropriateness of intervention; counselor's attitude; client's resistance; time series analysis; cross correlation function.; appropriateness of intervention; counselor's attitude; client's resistance; time series analysis; cross correlation function.
Citation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15, no.2, pp 161 - 177
Pages
17
Journal Title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ume
15
Number
2
Start Page
161
End Page
177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65801
ISSN
1229-0688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시계열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상담자 개입적절성과 상담자 긍정적 태도가 내담자 저항에 작용하는 방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시계열분석의 다중전이함수잡음모형을 구하고 교차상관을 산출하였다. 상담자 개입적절성과 긍정적 태도는 입력변인(선행변인)이었으며, 내담자 저항이 출력변인(후행변인)이었다. 연구대상은 두 개의 성공 및 실패사례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A사례의 경우 상담자의 긍정적 태도는 lag 1(r=-.313)과 lag 2(r=-.401)에서 저항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상담자의 개입적절성은 lag 6(r=-.314)에서 저항과 유의한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B사례의 경우 상담자의 긍정적 태도는 lag 0(r=-.357), lag 1(r=-.311), lag 2(r=-.304), lag 3(r=-314)에서 저항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나타냈으며, 상담자 개입적절성은 lag 3(r=-401)에서 저항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상담자의 긍정적 태도는 상담자 개입적절성보다 내담자 저항을 더 빠른 시간간격에서, 더 지속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이러한 작용방식은 성공 및 실패사례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Psych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