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서울굿의 상차림에 대하여

Authors
홍태한
Issue Date
2003
Publisher
한국무속학회
Keywords
setting the table; gutpan; Seoul-gut
Citation
한국무속학, no.6, pp 7 - 32
Pages
26
Journal Title
한국무속학
Number
6
Start Page
7
End Page
3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65841
ISSN
1738-1614
Abstract
이 글은 서울지역의 굿에서 사용되는 상차림을 살펴본 것이다. 그동안 무가나 무신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덜 된 상차림의 일반적 현황을 살펴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 논의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서울굿에서 차려지는 굿상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부정상, 산신본향상, 가망본향상, 불사상, 조상상, 장군상, 성주상, 뒷전상, 지신상, 안당제석상, 대신말명상, 천궁맞이상. 대수대명상, 사자상, 연지당상, 대감상, 망제님 전물상 등이 현재 서울 지역의 무당들이 말하는 굿상의 종류이다. 그러나 이들 중 몇몇은 실제 굿판에서는 차려지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며, 무당에 따라 동일한 상을 다른 이름으로 부르는 경우도 있다. 이들 굿상 중에서 일반적으로 모든 굿에 차려지는 상은 부정상, 본향상, 장군상, 뒷전상이다. 본향상은 산신본향과 가망본향을 모시는 상이다. 이러한 기본적인 상에 올려지는 음식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고, 다른 굿상은 어떤 차림을 가지고 있는지를 그림과 함께 제시했다. 서울굿의 상차림에 나타난 의미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먼저 굿판에 나타나는 신격과 상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이고, 둘째로는 굿판의 성격에 따라 비중을 강하게 부여하는 상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셋째로는 서울굿의 상차림에서는 제물을 크게 다섯 가지로 구분하고 있음이 보인다. 떡, 나물, 과일, 전, 고기가 그것인데 이 중에서 떡과 나물, 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넷째로는 상의 규모를 줄일 때 시루를 사용하는 모습이 보이며, 다섯째로 꽃(무화)을 적절하게 사용하고 있음이 보인다. 여섯째는 상징성이 있는 음식이 몇 가지가 있으며, 일곱째 상차림이 제가집에게 보이는 무당 정성의 표현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차림은 신과 인간이 직접적으로 만나는 역할을 한다. 서울굿의 상차림을 살펴봄으로써 굿상에 대한 개략적인 모습이 밝혀졌다는 데에 이 글의 의의가 있다. 앞으로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개별적인 굿거리에서는 각각의 상차람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앞으로 살펴볼 것을 과제로 제시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School of Asian Languages and Culture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