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태아 간의 적혈구모세포섬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및 투과전자현미경적 연구Immunohistochemical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ic Studies of Erythroblastic Islands in Human Fetal Liver

Authors
김혜영채희선김용욱김경용이원복
Issue Date
1998
Publisher
대한해부학회
Keywords
별큰포식세포; 적혈구모세포섬; 면역조직화학; Kupffer cell; Erythroblastic island; Emperipolesis; Immunohistochemistry
Citation
대한해부학회지, v.31, no.2, pp 205 - 216
Pages
12
Journal Title
대한해부학회지
Volume
31
Number
2
Start Page
205
End Page
21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66467
ISSN
2093-3665
2093-3673
Abstract
배령 제5주에서 태령 제37주에 이르는 17예의 배자와 태아의 간을 대상으로 큰포식세포의 용해소체에 대한 항체 (CD68)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염색과 전자현미경 관찰을 통해 큰포식세포와 간 적혈구형성에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배령 제7주의 배자 간에서 CD68 반응세포는 대부분 원시동굴모세혈관 벽을 구성하는 별큰포식세포이고 간세포판 사이에서 일부 관찰되었으며 적혈구모세포는 원시간세포판 사이에 흩어져 조금씩 출현하였다. 그러나 배령 제8주에서 간적혈구형성의 활성도가 급속한 증가와 더불어 별큰포식세포와 큰포식세포의 수와 크기가 증가되었다. 2. 태생기 동안 태령 제11주부터 태령 제26주의 태아 간은 간 적혈구형성의 활성도가 제일 높게 유지되는 시기이며 대부분의 적혈구모세포는 적혈구모세포집단 또는 적혈구모세포섬을 구성하고 있었다. 적혈구모세포섬은 방추 또는 타원모양이나 태령이 증가할수록 더욱 다양하였다. 또한 적혈구모세포섬에 참여하는 큰포식세포의 위치는 적혈구모세포섬의 한쪽 끝, 중간말초부위, 중간부위에 위치하고 있다. 정형적인 적혈구모세포섬에 비해 다른 양상을 보였다. 그리고 이러한 큰포식세포의 세포막돌기는 주위를 에워싸고 있는 발육중인 적쳔구모세포에 뻗쳐있거나 밀접하게 접촉하고 있었다 (peripolesis). 3. 적혈구모세포섬을 구성하는 일부의 큰포식세포에서 큰포식세포 속에 발육중인 적혈구모세포를 포함하고 있었다(emperipolesis). 전자현미경 관찰에서 큰포식세포 속에 위치한 발육중인 적혈구모세포의 세포막과 큰포식세포의 소포막은 정상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적혈구모세포는 큰포식세포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적혈구모세포 보다 더 성숙한 발육단계를 보였으며 호산성적혈구모세포는 핵탈출의 과정을 밟기도 하였다. 4. 태령 제27주 이후의 태아 간은 간적혈구형성의 활성도가 감소하는 시기이며, 적혈구모세포섬의 크기나 참여하는 적혈구모세포의 수가 각각 작아지거나 감소하였다. 이상을 종합하면 태아 간 적혈구형성에서 큰포식세포의 활성도는 간적혈구형성의 활성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큰포식세포는 호산성적혈구모세포의 탈출된 핵이나 죽어가는 적혈구모세포를 포식작용함은 물론 적혈구모세포섬의 구성이나 적혈구모세포에 대한 emperipolesis 현상을 일으키며 적혈구형성 미세환경의 한 요소로 참여한다고 보여진다.
Macrophages in 14 human livers from 5 to 37 weeks of gestation were studied immunohistochemically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ically with 3 human fetal livers during the high activity of hepatic hemopoiesis. Author had rosed a highly specific mAb, CD68 to examine the distribution of mature macrophages in human fetal liver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ir presence in the hemopoietic microenvironment. Kupffer cells and macrophages were first seen in human enbryos by 7 weeks of gestation in primitive hepatic sinusoids and hepatic laminae. Thereafter numbers of CD68 labelled cells increased concomitantly with the rapid expansion of hemopoietic activity. From 11 to 26 weeks of gestatlon, the human fetal livers showed the maintenance of high hemopoietic activity and erythroblastic islands with various shapes. Macrophages in human fetal livers formed part of the hemopoietic stroma and their extensively spread plasma cytoplasmic processes, could be seen making intimate contacts with clusters of developing erythroblastic cells. Partly macrophages in the erythroblastic islands contained several developing erythroblastic cells (emperipolesis). Studies using the electron microscope demonstrated intact membranes surrounding the developing erythroblastic cells and lining the macrophagic vesicles. The decline of hepatic hemopoiesis after 27 weeks of gestation coincided with the decline of the size of an erythroblastic island and the disappearance of marcophage in the erythroblastic islands.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macrophages in the hepatic hemopolesis participate in non-phagocytic hemopoietic cell interactions, erythroblastic island and macrophagic emperipolesis, as well as in phagocytosis of erythroblastic nuciei and dying cells.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Medicine > College of Medicin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Kyung Yong photo

Kim, Kyung Yong
의과대학 (의학부(기초))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