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태아 간에서 적혈구형성세포의 통벽성 이주Evidences of Transmural Migration of Erythropoietic Cells in Human Fetal Liver

Authors
이원복이종원김경용
Issue Date
1996
Publisher
대한해부학회
Keywords
태아 간; 내피세포; 이주구멍; 적혈구형성세포; 통벽성이주; Fetal liver; Endothelium; Migration pore; Erythropoietic cell; Teansmural migration
Citation
대한해부학회지, v.29, no.4, pp 387 - 400
Pages
14
Journal Title
대한해부학회지
Volume
29
Number
4
Start Page
387
End Page
40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66470
ISSN
2093-3665
2093-3673
Abstract
태생기 간 적혈구형성에서 세망적혈구는 물론 미성숙 적혈구모세포가 동굴모세혈관 내강 속으로 이주하는 방법 및 부위에 대해 연구하고자 간 적혈구형성의 활성도가 높게 유지되고 있는 시기인 태령 제11주부터 태령 제23주에 이르는 태아 간을 연구재료로 삼아 연속초박절편을 이용한 투과전자현미경 관찰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세망적혈구는 내피세포의 세포질 중심부위에서 부착, 침입 및 이주구멍의 형성단계를 거쳐 동굴모세혈관 내강 속으로 이주하였다. 이주과정에서 형성된 침입구멍이나 이주구멍의 모서리 주변에 있는 내피세포에는 이웃하는 다른 내피세포와 별큰포식세포 사이의 세포연결 구조물인 세포사이연접과 관련없이 한 내피세포 속에 일시적으로 침입구멍이나 이주구멍을 만들고 동굴모세혈관 내강 속으로 세망적혈구가 이주하였다. 2. 간 적혈구모세포를 포함하는 미성숙 적혈구모세포는 내피세포의 가쪽세포질돌기에서 부착 및 이주구멍의 형성단계를 거쳐 이주하였다. 또한 미성숙 적혈구모세포의 세포질과 핵형질은 변형이 일어나면서 그 세포의 핵보다 작은 일정한 직경의 이주구멍을 통과하여 동굴모세혈관 내강 속으로 이주한 후 그 세포의 성숙도에 따른 세포 고유의 모양을 되찾았다. 3. 태령 제14주나 제13주의 간 적혈구형성에서 미성숙 적혈구모세포는 내피세포의 가쪽세포질돌기 그리고 세망적혈구는 내피세포의 세포질 중심부위에서 대부분 이주가 일어났다. 태령이 증가함에 따라 태령 제18주나 제23주에는 초기 미성숙 적혈구모세포의 이주는 점차 감소되었으며 호산성적혈구모세포나 세망적혈구만이 내피세포의 가쪽세포질돌기를 통해 이주하였다. 이상을 종합하면 태아 간 적혈구형성에서 세망적혈구는 물론 부분적이나마 미성숙 적혈구모세포도 동굴모세혈관벽을 구성하는 내피세포 속에 이주구멍을 형성하여 동굴모세혈관내강으로 이주하였다. 사람 혈구형성의 개체발생측면에서 미성숙 적혈구모세포의 이주는 정상적인 과정이며 골수 적혈구형성과는 다르게 태아 간 적혈구형성에서 볼 수 있는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For the study of methods and sites of the migration of immature erythroblasts as well as reticulocytes, human fetal livers from 11 to 23 weeks of gestation maintaining high erythropoietic activity were investigated with continuous series of thin sections electronmicroscopically.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Reticulocytes migrated into the intravascular space of the sinusoid through the successive stages of attachment, invasion and formation of migration pore within the cell body of endothelial cell. Reticulocytes migrated into the sinusoid lumen through invasion pore or migration pore with no relation to intercellular junction between endothelial cells or endothelial cell and Kupffer cell. 2. Immature erythropoietic cells including proerythroblasts migrated via lateral cytoplasmic processes of endothelial cells through the stages of attachment and formation of migration pore. Immature erythroblasts passed with irrgular transformation of the nucleus and cytoplasm through the migration por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migrating cell into sinusoidal lumen and then recovered its original shape of the maturity in the lumen. 3. In 11 and 13 weeks of gestation, immature erythroblasts migrated through lateral cytoplasmic processes of endothelial cells and reticulocytes through cell bodies of endothelial cells predominently. With age about 18 and 20 weeks of gestation, the migration of early immature erythroblasts decreased and only acidophilic erythroblasts and reticulocytes migrated through lateral cytoplasmic processes of endothelial cells. In summary, immature erythroblasts in addition to reticulocytes migrated via migration pore through endothelial cell forming sinusoidal lining. So it is suggested that the migration of immature erythroblasts is a normal process and a characteristic phenomenon seen in fetal hepatic erythropoiesis but not in myeloid during the human hemopoietic ontogeny.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Medicine > College of Medicin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Kyung Yong photo

Kim, Kyung Yong
의과대학 (의학부(기초))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