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국소성 기질화 폐렴의 CT 소견: 병리 소견과의 비교CT Findings of Focal Organizing Pneumonia: Correlation with Pathologic Findings

Authors
Kim, Yang SooKim, Young GooPark, Un Sup
Issue Date
Nov-1994
Publisher
대한영상의학회
Keywords
Lung, infection; Lung, CT
Citation
대한방사선의학회지, v.31, no.5, pp 875 - 878
Pages
4
Journal Title
대한방사선의학회지
Volume
31
Number
5
Start Page
875
End Page
87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67039
DOI
10.3348/jkrs.1994.31.5.875
ISSN
2951-0805
Abstract
목적 : 폐암과의 감별을 요하는 국소성 기질화 폐럼의 방사선학적 소견의 분석과 병리조직학적 소견과의 비교를 통해 이 질환의 진단 및 폐암과의 감멸에 도움을 얻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단순 흉부촬영 및 CT상 단일 폐종괴로 보여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으로 폐암이 의심된 환자 중 병리학적으로 기질화 폐럼으로 확진된 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단순 흉부촬영 및 CT소견과 병리소견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단순 흉부촬영상 전예에서 단일 종괴상으로 보였으며 1 예에서는 병소내에 공기음영이 보였다. CT에서는 전예에서 늑막과 연한 페의 말초부위에 병소가 위치하였고 크기는 장경이 3.5cm에서 5.5cm 까지 평균 4.2cm 이었다. 조영증강전 영상에서는 전예에서 불규칙한 경계를 강는 구형, 난구형 및 쐐기모앙의 종괴였고 2예에서는 병소내에 공기음영이 보였다. 조영증강후에는 전예에서 조영증강을 보였고 그 중 4예 에서는 조염증강병소 내부에 조영증강이 약하거나 되지 않는 저밀도의 음영이 관찰되었다.4예에서는 늑막삼출 또는 병소에 인접한 늑막의 국소적인 비후가 보였다. 전예에서 림파절의 종대는 없었다. 병리학적으로는 CT상 조영증강이 되는 부위에서는 폐포내에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동반한 육아조직과 간질조직이 두꺼워진 기질화 폐럼의 소견을 보였고 병변중심부의 저밀도 부위에서는 허혈성 괴사, 농양과 삼출액, 누출액(transudate) 및 포말성 조직구(foamy histiocyte)의 침윤이 관찰되었다. 결론 : 국소성 기질화 폐럼은 폐암과의 영상감별점은 없지만 CT상 페의 말초부위 에 위치하는 조영증강이 되는 종괴로 내부에 저밀도의 음영을 동반할 수 있고 임파절의 종대가 없을 경우 이 질환의 가 능성도 생각해야 한다.
PURPOSE: To evaluate the CT findings of focal organizing pneumonia and to correlate them with pathologic findings to help differentiating from lung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We evaluated radiologic and pathologic findings of five patients with solitary pulmonary nodule which were confirmed as focal organizing pneumonia pathologically. RESULTS: On CT scan, focal organizing pneumonia had irregular margin contacting the pleura in all five cases. The shape of the nodules were spherical to wedge or elliptical and the size from 3.5cm to 5.5cm (average 4.2cm) in largest diameter. On postcontrast CT scan, all nodules showed enhancement and four cases showed central low density components. Two nodules contained air within the nodule. In four cases, pleural changes such as effusion and/or focal thickening were noted. No lymphadenopathy was found in all cases. Pathologically, the enhancing portion on CT showed findings of organizing pneumonia such as granulation tissue with fibroblast proliferation in alveolar space and interstitial thickening. The central low density areas on CT were due to ischemic necrosis, abscess and exudate, transudate and infiltration of foamy histiocyte. CONCLUSION: The possibility of focal organizing pneumonia should be considered when peripherally located solitary pulmonary nodule had enhancing component with no combined lymphadenopathy on CT sca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Medicine > College of Medicin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