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그릿과 우울의 매개효과The mediating effects of grit and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yles and happiness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Authors
우성현안도희
Issue Date
Dec-2022
Publisher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Keywords
부모양육태도; 그릿; 우울; 행복감; 대학생; 매개효과; Parenting Styles; Grit; Depression; Happiness; University students; Mediating effects
Citati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22, no.24, pp 67 - 83
Pages
17
Journal Title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ume
22
Number
24
Start Page
67
End Page
83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67312
DOI
10.22251/jlcci.2022.22.24.67
ISSN
1598-2106
2671-776X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COVID-19)시기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 그릿, 우울 및 행복감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부모의 양육태도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그릿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방법 본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도에 소재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응답이 불성실한 학생을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283명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변인들 간의 상호관련성 분석을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분석하였으며, 부모의 양육태도와 그릿, 우울,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와 부모의 양육태도(애정, 과보호)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그릿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애정, 과보호)와 그릿, 우울 및 행복간의 상호관련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애정적인 양육태도는 그릿을 높이고 우울은 낮아지게 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과보호적 양육태도는 그릿을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릿은 우울을 낮아지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우울은 행복감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모의 애정적 양육태도 및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그릿과 우울이 이중 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부모의 애정어린 양육태도가 대학생 자녀의 그릿수준을 높이고, 높아진 그릿은 우울을 감소시킴으로써 부정적인 정서를 완화해 행복감을 높이는 데 반해, 부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는 대학생 자녀의 그릿수준을 떨어뜨리고, 이를 통해 우울을 가중시킴으로써행복감을 저하시킨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부모의 양육태도는 성인기에 접어든 대학생 자녀의 행복감에 여전히 중요한 영향을 끼치고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결과가 대학생의 행복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yles(i.e., affection, overprotection), grit, depression, and happines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during the COVID-19 period, and explored the mediating effects of grit and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yles and happiness.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students enrolled in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do, and 283 people were finally analyzed excluding those who did not complete all the responses.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grit and depression were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yles and happiness. Results First,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styles(i.e., affection, overprotection), grit, depression, and happiness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it was found that parents' affectionate parenting style increased grit and decreased depression, while overprotective parenting style decreased grit. Grit was found to alleviate depression, and depression was found to hinder happiness. Finally, grit and depression were found to be double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yles(i.e., affection, overprotection) and happiness. Conclusions Parents' affectionate parenting style raises the grit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 elevated grit relieves negative emotions by reducing depression, while parents' overprotective parenting style decreases the grit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thereby lowering their happiness. Therefore, the parenting styles still seem to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happiness of university student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reparing programs to improve the happiness of university student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Ahn, Doe Hee photo

Ahn, Doe Hee
사범대학 (교육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