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코로나-19 시기 청년여성의 일자리 경험과 행복: 사회적 관계의 조절효과Work-related Experiences and Happiness of Young Adult Wome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Relationships

Authors
지은주이민아
Issue Date
Aug-2023
Publisher
한국조사연구학회
Keywords
COVID-19; happiness; negative experiences in employment; social relationships; young adult women; 코로나-19; 행복; 일자리 경험; 사회적 관계; 청년여성
Citation
조사연구, v.24, no.3, pp 41 - 67
Pages
27
Journal Title
조사연구
Volume
24
Number
3
Start Page
41
End Page
67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68197
DOI
10.20997/SR.24.3.2
ISSN
1229-9219
Abstract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의 일자리 경험이 청년여성의 행복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고 일자리 경험과 행복의 관계가 사회적 관계의 질에 따라 달라지는지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여성정책연구원이 2020년도에 수집한 제8차 여성·가족패널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19세에서 39세까지의 배우자가 없는 청년여성이며 종속변수는 주관적 행복이다. 코로나-19로 인한 일자리 변화는 총 여섯 가지의 경우로 다음과 같이 구분하였다: (1)하던 일을 그만둠 (2)하던 일을 그만두고 새로운 일자리를 찾음 (3)하던 일의 노동시간이나 소득이 크게 줄었음 (4)변화 없이 하던 일을 계속함 (5)계속 비취업 상태였음 (6)기타. 사회적 관계의 질은 (1)사회적 고립과 (2)관계 스트레스로 측정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하던 일을 그만둔 여성과 지속적 비취업상태였던 여성이 일자리의 변화가 없었던 여성에 비해 행복수준이 낮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일자리 경험과 행복의 관계에 사회적 관계의 질 중 관계 스트레스가 조절효과를 가졌다. 하던 일을 그만둔 경우와 새로운 일자리를 찾은 경우, 관계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행복이 더 크게 감소하였다. 즉, 관계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일자리 변화가 행복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더 증가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에 발생한 일자리 변화가 청년여성의 행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음을 경험적으로 증명하였으며 일자리의 부정적 변화와 낮은 사회적 관계의 질이 행복에 이중부담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associations between work-related experienc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quality of social relationships, and happiness of young adult women in Korea. The data were drawn from the 2020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Young adult women who are never married and aged 19 to 39 were included for the analyses. Work-related experience during the pandemic were categorized into six cases as follows: (1) job loss (2) experienced job loss, but found a new job (3) substantially reduced working hours or income (4) sustained same job/work (5) no job even before the pandemic, and (6) others. The quality of social relationships was measured by two variables: (1) social isolation, and (2) relationship stress.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women who lost job due to the pandemic and did not have a job even before the pandemic ha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happiness than those who sustained their job.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two types of work-related experiences and relationship stress. A higher level of relationship stress exacerbated the harmful effects of the negative work-related experiences.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Soci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Min Ah photo

Lee, Min Ah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