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유튜브 ‘사이버렉카’ 채널은 어떻게 악성댓글을 양산하는가? 유튜버 익명성, 규범 동조, 혐오의 반향실 효과를 중심으로How Does YouTube “Cyber-Wrecker” Channels Generate Toxicity?: The Effects of YouTuber’s Anonymity, Normative Conformity, and Echo-Chamber of Hate on Malicious Comments

Authors
이신행현아연
Issue Date
Jun-2023
Publisher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Keywords
Online Toxicity; Malicious Comments; Cyber-Wrecker; YouTube; Anonymity; Normative Conformity; Echo Chamber of Hate; 악성댓글(악플); 사이버렉카; 유튜브; 익명성; 규범 동조; 혐오의반향실
Citation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v.40, no.2, pp 53 - 88
Pages
36
Journal Title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Volume
40
Number
2
Start Page
53
End Page
8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69766
DOI
10.36494/JCAS.2023.06.40.2.53
ISSN
1598-5733
2713-8488
Abstract
본 연구는 1인 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주로 연예계 스캔들 또는 유명인이 관련된사건⋅사고를 다루는 콘텐츠로 조회수를 늘리는 사이버렉카와 이로 인해 양산되는 악플에 주목했다. 특히, 사이버렉카의 영상 단위에서 어떠한 특성이 악플생산을 조장하는지를 분석하고자 대표적 유튜브 사이버렉카 4인을 선정 후 이들 채널에서 370건의 영상에 달린 댓글 약 29만건을 수집하고 인공신경망으로악플을 분류하여 악플 생산 정도를 측정했다. 그리고 사이버렉카의 효과를 1) 비대면 소통 환경의 유튜버 익명성이라는 구조적 여건, 2) 사용자들이 집단 중심의 사고와 행동을 수행하며 사이버렉카의 악의성에 동조하는 효과, 그리고3) 사이버렉카의 타깃(target)에 투영된 혐오 정서로 인해 내집단 일체감과 외집단에 대한 구별짓기와 편견이 반향실 효과로 인해 강화되며 발현된 악플 증가로 구별해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분산 분석과 회귀 분석으로 검증했다. 분석 결과, 익명의 유튜버가 운영하는 사이버렉카 채널은 자신의 신원을 드러낸경우에 비해 악플 생산에 더 효과적이었다. 또한, 사이버렉카가 다루는 타깃이사회적 혐오의 대상일 때 악플 생산은 더 증가했다. 즉, 사이버렉카가 연예인혹은 유명인들에 대한 자극적인 보도로 댓글량이라는 광고 수익과 연관되는 지표를 늘리는데 있어 우리 사회의 혐오 정서가 투영되는 대상의 선정이 효과를발휘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반면, 사이버렉카의 표현 방식에 주목해 편파적 묘사와 조롱 등의 악의성이 노골적으로 드러난 영상이 악플 생산을 조장하는가를검증한 결과 유의미한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본 연구는 사이버렉카라는 새로운 방송 형태가 악플 확산을 어떻게 주도하고조장하는지 밝힘으로써 산업 차원은 물론 문화적으로 그 영향력이 커지고 있는1인 미디어 생태계에 대한 이해와 문제 해결의 방안을 논의했다.
This study focuses on Cyber-Wrecker, which is an emerging type of personalized media contents to produce views and comments by posting videos about celebrity scandals or incidents, and online toxicity it generates. In particular, we analyzed what characteristics of Cyber- Wrecker encouraged toxicity in comments at the video level by selecting four representative Cyber-Wreckers on YouTube, collecting about 290,000 comments on 370 videos from their channels, and classifying malicious comments with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to measure the degree of toxicity production. To do so, we tested research hypotheses drawing upon 1) the structural conditions of YouTubers’ anonymity, 2) normative conformity among users performing grouporiented thoughts and behaviors toward Cyber-Wrecker, and 3) the reinforcement of hate projected on the target of Cyber-Wrecker that stimulated in-group unity and out-group hostility through the echochamber effect. The results showed that anonymous Cyber-Wreckers were more effective in generating toxicity than those that revealed their identities, and that toxicity production increased when the targets of Cyber-Wrecker were socially hated. In other words, Cyber-Wrecker’s sensationalized coverage of celebrities and public figures was effective in increasing toxicity by selecting targets that reflected hate sentiments of our society. On the other hand, overtly malicious videos, such as biased portrayals and mockery,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production of toxicity.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heds light on how Cyber-Wreckers as an emerging online content creator promotes the spread of toxicity and discusses ways to understand and address the growing influence of the personalized media ecosystem, not only at the industrial level but also culturally.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School of Media & Communi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Shin Haeng photo

Lee, Shin Haeng
사회과학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