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장기간의 저항성 트레이닝이 전문 보디빌더의 중심 동맥 혈압 및 경직도에 미치는 영향Impact of Prolonged Chronic Resistance Training on Central Blood Pressure and Arterial Stiffness in Professional Bodybuilders

Authors
이동현박원일이재성백형진홍광석
Issue Date
Jul-2023
Publisher
한국체육학회
Keywords
혈역학; 심혈관 기능; 혈관내피세포 의존성 혈관 확장; 근비대; Hemodynamics; Cardiovascular function; Endothelium-dependent vasodilation; Muscular hypertrophy
Citation
한국체육학회지, v.62, no.4, pp 1 - 10
Pages
10
Journal Title
한국체육학회지
Volume
62
Number
4
Start Page
1
End Page
1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70315
DOI
10.23949/kjpe.2023.7.62.4.1
ISSN
1738-964X
2508-7029
Abstract
규칙적인 저항성 트레이닝에 따른 혈역학적 변인(중심 동맥경직도 등)의 적응은 대상자의 특성(예: 성별, 연령), 훈련 기간 및 강도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저항성 트레이닝 경험이 없거나 트레이닝 수준의 차이가 있는 집단을 대상으로 심혈관 기능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전문 보디빌더 집단(BD, n=12), 여가 수준의 저항성 트레이닝을 규칙적으로 실시한 아마추어 집단(RT, n=16), 그리고 최근 6개월 내로 신체활동 및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없는 좌식 생활 집단(SED, n=16)을 구성하여 중심 동맥 혈압, 중심 동맥 경직도, 맥파 분석 및 혈관내피세포 의존성 혈관 확장 기능을 분석하였다. BD 집단의 상완 수축기 혈압은 RT와 SED 집단보다 높았으며(p=.008), 중심 동맥 수축기 혈압은 RT 집단보다 높았고 (p=.029), BD의 중심 맥압 또한 SED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31). 다음으로 BD 집단의 맥파 전파속도(pulse wave velocity)는 RT 집단보다 빨랐으며(p=.002), 맥파 전달시간(pulse transit time)은 RT 집단보다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p=.009). 맥파 분석 결과, BD 집단은 SED 집단에 비해 말초 혈관으로부터 혈액이 되돌아오는 반사파의 크기(reflection magnitude)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p=.032), 혈관내피세포를 통한 혈관 확장 기능에는 집단 간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p>.05).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종합하면 장기간 고강도 저항성 트레이닝은 혈관내피세포의 기능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중심 동맥경직도를 높이는 데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저항성 트레이닝이 심혈관 기능에 미치는 영향은 여전히 명확하지 않으며, 장기간 고강도 저항성 트레이닝에 대한 심혈관계의 생리학적 적응 또는 병리학적 변화를 규명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 >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Hong, Kwang Seok photo

Hong, Kwang Seok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