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여성 조직구성원 관점의 내부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모형 예측: 머신러닝 기반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 모델의 적용Predicting the Internal Communication Effectiveness of Female Employees: An Application of a Machine Learning-based Random Forest

Authors
정혜승성민정
Issue Date
Dec-2023
Publisher
한국PR학회
Keywords
내부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 방향성; 여성 조직구성원; 패널 데이터; 랜덤 포레스트; 머신러닝; Internal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irection; Female employees; Panel data; Random forest; Machine learning
Citation
PR연구, v.27, no.4, pp 111 - 143
Pages
33
Journal Title
PR연구
Volume
27
Number
4
Start Page
111
End Page
143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71895
DOI
10.15814/jpr.2023.27.4.111
ISSN
1229-2869
2671-8227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조직구성원의 내부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모형을 예측하는 것이다. 인적자원으로서 여성조직구성원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나 이들의 특성을 반영한 내부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연구는 미흡하다는 점에서, 여성 조직구성원 관점의 내부 커뮤니케이션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머신러닝 기반 랜덤 포레스트 기법을 활용하여 선행 연구에서 도출한 내부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요인의 유효성을탐색하고, 예측 기반 방식을 통해 새롭게 발견한 요인을 제안하였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여성관리자패널조사(Korean Women Manager Panel: KWMP)에서 추출한 1,687명의 응답값을 활용한 결과를 변수 중요도(variable importance)와 부분 의존성 도표(partial dependence plot)을 통해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방향성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예측에는 조직구성원 간 관계성과 직속상사 리더십이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직속상사 리더십 차원의 유연근무 지원, 공정성, 리스닝 등이 여성조직구성원의 수평적, 상향식, 하향식 커뮤니케이션 활성화를 예측하는 주요인임을 확인하였다. 결론 및 함의 여성 조직구성원의 내부 커뮤니케이션 활성화를 위해 조직구성원 간 긍정적 관계 형성 및 직속상사 리더십 육성을 위한 조직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직속상사와 여성 조직구성원 간 일대일 차원의 지원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리더십 교육, 사내 시스템 개선, 커뮤니케이션 채널 보완 등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Business & Economics > Department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ung, Min Jung photo

Sung, Min Jung
경영경제대학 (광고홍보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