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주택가격 변동이 20대 대통령 선거 지지 정당 후보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전국 행정동 단위 투표결과를 중심으로The impact of Housing Price Changes on Swing Voters in the 20th Presidential Election : Focused on National Voting Results by Administrative Districts

Authors
윤미영전명진
Issue Date
Apr-2024
Publisher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Keywords
경제투표; 자산기반 투표; 대통령 선거; 아파트 가격; 다항로짓모형; Economic Voting; Patrimonial Voting; Presidential Elections; Apartment Prices; Multinomial Logit Model
Citation
국토계획, v.59, no.2, pp 121 - 132
Pages
12
Journal Title
국토계획
Volume
59
Number
2
Start Page
121
End Page
13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73825
DOI
10.17208/jkpa.2024.04.59.2.121
ISSN
1226-7147
2383-9171
Abstract
본 연구는 2017년 19대 대선과 2022년 20대 대선 결과 자료를 이용하여 주택 시장 요인이 대선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탄핵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의 대선과 일반적인 상황에서 치러진 대선 모두에서 경제적 요인이 유권자의 선거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한다. 특히19대 대선과 20대 대선에서 지지 정당 후보를 바꾼 스윙보터(swing voters)를 파악하고 이들이 어떤 요인으로 지지 정당 후보를 바꿨는지를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각 년도 전국 행정동별지지 후보 자료를 선거관리 위원회에서 구득한 후 대선에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인구사회학적 변수, 경제적 변수, 유권자가 거주하는 지역 관련 변수, 그리고 주택 시장 관련 변수를 포함하여 탐색적 및 통계적 분석을 수행한다. 특히 통계적 분석은19-20대 대선 때 지지 정당 후보 선택에 대한 다항로짓모형을 구축하고 분석한다. 본 연구는 제2장에서 경제 투표 및 자산 기반 투표와 관련한 이론적 논의 및 국내외 선행연구를 검토한 후 19-20대 대선의 주요선거 쟁점에 대해 논의하고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고찰한다. 제3장에서는 분석 자료 및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제4장에서는 탐색적 및 통계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결론에서 연구의 요약및 시사점을 제시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and Real Estat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