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청년니트(NEET)의 자살생각 및 우울: 수도권과 비수도권 비교를 중심으로Suicidal thinking and depressive symptoms of young adults who are 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 (NEET) in Korea

Authors
지은주류한소이민아
Issue Date
Jun-2024
Publisher
한국인구학회
Keywords
NEET; Job Status; Suicidal Thinking; Depressive Symptoms; Types of NEET; Social Exclusion; 청년니트; 일자리; 자살생각; 우울; 니트유형; 사회적 배제
Citation
한국인구학, v.47, no.2, pp 33 - 55
Pages
23
Journal Title
한국인구학
Volume
47
Number
2
Start Page
33
End Page
5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75222
DOI
10.31693/KJPS.2024.06.47.2.2
ISSN
1226-2986
2733-9807
Abstract
이 연구는 교육받지도 고용상태도 아닌 청년니트에 초점을 맞추어 일자리와 니트상태 및 유형이 청년의 자살생각, 우울과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 분석하고 이러한 관계가 수도권 거주 여부에 따라 다른지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34세를 대상으로 수집한 2022년도 <청년삶실태조사>자료를 분석하였다. 니트상태를 포함하여 전체 청년의 일자리, 경제활동상태는 1)상용근로, 2)임시·일용근로, 3)자영업, 4)니트상태, 5)기타 비경제활동상태로 측정하였고, 니트상태를 다시 네 가지의 유형인 1)실업형, 2)취업·진학준비형, 3)질병 및 기타 유형, 4)구직중단형으로 구분했다. 분석 결과, 임시·일용근로자와 니트상태의 응답자가 상용근로자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자살생각과 우울이 높았다. 추가적으로 니트유형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상용근로자에 비해 실업형과 질병 및 기타 유형이 자살생각의 확률이 높았고, 실업형과 구직중단형이 우울수준이 높았다. 다만 구직중단형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미래전망과 소득불평등에 대한 인식을 통제한 후 유의도가 10% 수준으로 떨어졌다. 또한 표본을 수도권과 비수도권으로 구분하여 하위집단 비교분석을 실시한 결과, 니트상태 및 유형의 부정적 영향은 일반적으로 수도권 응답자 표본에 더 강하게 나타났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청년니트가 정신건강의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니트집단 내에서도 유형 및 거주지역에 따라서 정신건강의 격차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Soci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Min Ah photo

Lee, Min Ah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