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베이비붐세대의 문화자본과 경제자본이 문화예술 소비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유은영진현정
Issue Date
2016
Publisher
한국소비자학회
Keywords
베이비붐세대; 문화예술 소비; 옴니보어가설; 문화자본; 경제자본; Baby Boomer; Consumption of Culture and Art; Omnivore Hypothesis; Cultural Capital; Economic Capital
Citation
소비자학연구, v.27, no.6, pp 79 - 103
Pages
25
Journal Title
소비자학연구
Volume
27
Number
6
Start Page
79
End Page
103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7573
ISSN
1226-282X
Abstract
1980년대 한국 경제 성장의 주역인 베이비붐세대가 최근 들어 각 산업분야에서 중요한 소비계층으로 각광받고 있다. 문화예술시장에서도 이들은 새로운 수요그룹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을 대상으로 한 문화 소비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베이비붐세대의 문화자본과 경제자본이 문화예술 소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옴니보어가설(omnivoure hypothesis)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대중문화뿐만 아니라 고급문화까지 모두 소비하느냐를 종속변수로 한 로짓분석에서는 베이비붐세대의 문화자본변수 중 ‘본인 학력’과 문화예술에 대한 ‘태도’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반면에 고급문화와 대중문화 소비의 다양성과 빈도를 종속변수로 한 분석에서는 문화자본 변수 중 ‘태도’만이 고급문화와 대중문화를 다양하게 그리고 보다 많이 소비하도록 만드는 변수로 나타났다. 이는 “문화자본이 많을수록 문화예술 소비 성향에 있어서 개방성과 다양성이 보다 더 부각된다”는 옴니보어가설을 지지하는 문화자본변수가 존재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인의 학력’은 고급문화 다양성과 빈도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베이비붐세대에게 있어서 학력은 대중문화와 고급문화를 같이 소비하느냐 여부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대중문화의 다양성과 횟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제시한다. 문화예술 소비에 대한 추후 연구에서 이전 노인세대와는 차별적인 특성을 가진 베이비붐세대의 문화자본이 중요한 변수로 다루어질 가치가 있으며, 특히 이들의 소비행태가 옴니보어가설에 의해 보다 적절히 설명된다는 점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A focus is given to baby boomers of South Korea who were born from 1955 to 1963 as an important consumer group in various industry sectors. Especially, they are receiving special attention lately in the market of cultural arts, such as movie, musical, play and so on. However, no study has been performed regarding baby boomers’ cultural consumption, although they are currently active consumers in the market.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impact of baby boomers’ cultural capital and economic capital on the consumption of cultural arts by applying ‘omnivore hypothesis.’ We found some notable results as follows. The results of the first step logistic regression that used ‘whether they have consumed products of high level cultural arts in addition to products of popular cultural arts’ as a dependant variable show tha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ependent variables among cultural capital variables are ‘their own education level’ and ‘attitude toward high level cultures.’ The results of the second step regression analysis that used ‘variety and frequency of consumption on high level cultural products and popular cultural products’ as dependant variables show that ‘attitude toward high level cultures’ is the only variable among cultural capital variables that makes baby boomers to consume both high level cultural products and popular cultural products more variously and frequently. We also found that ‘eduction level’ does not affect variety and frequency of products of popular cultural arts while it affect variety and frequency of products of high level cultural arts. It means that there exists a variable that supports ‘omnivore hypothesis’ toward Korean baby boomers. Therefore, cultural capital need to be treated as an important variable in future researches regarding baby boomers and one needs to focus omnivore hypothesis rather than Bourdieu’s theory in studies for Korean baby boomers’ cultural consumptio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Business & Economics > School of Economic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Jin, Hyun Joung photo

Jin, Hyun Joung
경영경제대학 (경제학부(서울))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