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The Effects of Export Insurance on Value - Added Export수출보험이 수출부가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

Authors
이재화송정석
Issue Date
2016
Publisher
한국무역보험학회
Keywords
export insurance; value-addedexport; global input-output approach; panel regression; 수출보험; 수출부가가치; 글로벌투입-산출방식; 패널회귀분석
Citation
무역보험연구, v.17, no.4, pp 1 - 17
Pages
17
Journal Title
무역보험연구
Volume
17
Number
4
Start Page
1
End Page
17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7654
DOI
10.22875/jiti.2016.17.4.001
ISSN
2093-5811
Abstract
Proper measurements of international trade activities aremuch in demand as a result of the emergence of global supply chain. In previous studies, the value-added trade is relevant to the discussion about intermediate goods.With the value-added export of Korea, we study the contribution of Korean export insurance to export promotion. In this paper,we focus on the short-termexport credit insurance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export insurance on the value-added export. As ameasurement of export,we consider the value-added export to study genuine contribution of the Korean export insurance toKorean export. Our empirical evidences are three folds. First, we have found some supporting evidence for the contribution of export insurance to the export promotion when we measure export by using the value-added export. Secondly, our results also suggest that driving force of the value-added export is quality-demand by export destination countries. Thirdly, the value-added export increases by less than the gross export when the export insurance increases. In sum, we suggest that the effect of export insurance on the value-added export should be addressed in a differentmanner fromthe effect on the gross export.
최근 글로벌 공급망의 발전에 따라 교역량에 대한 정확한 측정은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그간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부가가치교역은 주로 중간재를 위주로 한 논의에 국한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의 수출 부가가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한국수출보험이 수출촉진에 미치는 효과를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단기수출신용보험자료를 이용하여 수출보험이 수출 부가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본 연구는 수출규모의 정확한 측정치로 수출부가가치를 고려함으로써 한국 수출보험의 수출에 대한 기여도를 논의한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는 크게 세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본 연구는 수출 부가가치를 이용하여 측정한 수출규모에 대해 수출보험이 정의 영향을 미침을 발견하였다. 둘째,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수출 대상국가의 제품 품질 수요 관련 요인이 수출 부가가치의 주요 결정요인 중 하나이다. 셋째, 본 연구는 수출보험 증가에 따른 수출 부가가치 증가폭이, 수출보험 증가에 따른 총수출 증가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음을 발견하였다. 본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수출 부가가치를 기준으로 한 수출보험의 정책적 효과는 기존의 총수출을 기준으로 한 경우와 다른 방식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Business & Economics > School of Economic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ong, Jeong Seok photo

Song, Jeong Seok
경영경제대학 (경제학부(서울))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