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도시 저층주거지의 생활권 중심 분석

Authors
구미경양우현
Issue Date
2016
Publisher
한국주거학회
Keywords
Low-rise Residential Area; Neighbourhood Unit; Community Area; Transition of Neighborhood Center; Elementary School; 저층주거지; 근린주구이론; 생활권; 생활권 중심의 변화; 초등학교
Citation
한국주거학회논문집, v.27, no.6, pp 19 - 29
Pages
11
Journal Title
한국주거학회논문집
Volume
27
Number
6
Start Page
19
End Page
2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7718
DOI
10.6107/JKHA.2016.27.6.019
ISSN
2234-3571
2234-2257
Abstract
국내 다수의 신도시와 주거지는 페리의 근린주구이론을 바탕으로 계획되어왔다. 이 계획을 근간으로 초등학교는 지속적으로 생활권의 중심으로 고려되어 왔으며, 학교를 중심으로 거주민들의 활동과 커뮤니티가 형성된다고 여겨졌다. 그러나 생활 방식을 포함한 사회적 변화로 인해 통상적인 생활권 중심이 변화하고 있다. 거주자들의 활동은 점차 상업 시설을 중심으로 형성된 가로들로 이동하고 있으며, 기존 이론을 바탕으로 배치된 시설들의 활용성은 낮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황으로 인해 초래되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한 선행연구로서, 생활권의 중심이 초등학교 주변으로 국한되지 않으며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서울시에 위치한 계획주거지를 대상으로 실질적인 생활권의 중심이 어디에 형성되며, 그 특징은 무엇인지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하는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지는 반드시 초등학교를 포함하며 평지의 저층주택이 위주인 주거지로 선정하였으며, 대상지의 구체적인 생활권 범위는 행정구역, 학구, 생활권 계획을 모두 고려하여 설정하였다. 연구 방법은 주로 생활권에 관한 문헌조사와 통행량 및 교통량 등의 실측조사, 관찰과 면담을 통한 도시 현황의 해석 등을 바탕으로 진행되었으며, 이를 통해 사례지의 실제 중심가로를 선정하였다. 이후 추가적인 현장조사와 자료 분석을 진행하여 중심가로들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계획 원리로서의 생활권 중심인 초등학교와 변화된 사회와 생활을 반영한 실제 생활권 중심을 비교하여, 현재 도시 주거지 구성 원리에 대한 고찰과 의문을 제기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앞으로 생활권 중심에 관한 개념을 재정비하고 근린활동을 위한 공용시설의 배치 계획기준의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As a lifeway and social change, the neighborhood build up around elementary school based on Perry’s Neighbourhood Unit becomes change. Elementary School does not function as a center of residents’ activity or community any longer. Activities occurred near the school move to the community streets that many facilities are distributed to, while utilization of facilities near schools becomes lower. On the bases of the current states, this study aims to draw a practical neighborhood center of residential areas by case study. The research is being mainly about low-rise residential areas in Seoul which includes one elementary school at least. In order to deduct the center of neighborhood, the survey takes two steps. At the preliminary survey, conduct the observation and do an interview to investigate awareness and actual status. Also to analyze practical center, do a main survey about land value, pedestrian volume, distribution of public transit and facility density. The research result shows that there is another activated center street not nearby elementary school in every case. This study assumes that the neighborhood center is not limited around elementary school and could variously build up by circumstances. It has significance that we present a question about the traditional theory and also could be references of the future city maintenance in the long term.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 >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