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제조공장 유형이 본질 전이와 소비자의 가치 인식에 미치는 영향: 안전제품 배신을 중심으로

Authors
정헌배이용주
Issue Date
Oct-2016
Publisher
한국벤처창업학회
Keywords
FOO(Factory-of-Origin); 전염(Contagion); 본질 전이(Transferred essence); 안전제품 배신(Safety product betrayal); 가치; FOO(Factory-of-Origin); Contagion; Transferred essence; Safety product betrayal; Value
Citation
벤처창업연구, v.11, no.5, pp 117 - 128
Pages
12
Journal Title
벤처창업연구
Volume
11
Number
5
Start Page
117
End Page
12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7877
DOI
10.16972/apjbve.11.5.201610.117
ISSN
1975-7557
Abstract
FOO 학문을 확장시키기 위해 본 연구는 제조공장 유형(본점 공장 vs 분점 공장)에 따라 안전제품에 전이되는 브랜드 본질의 정도와 가치가 달라진다는 것을 증명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안전제품이란, 발생할 수 있는 피해나 위험으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해야 하는 제품을 가리키지만 때때로 소비자에게 직접적인 피해를 주는 주체가 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2016년에 화두가 된 가습기 살균제 사건처럼 세균을 없애 소비자의 건강을 지켜주어야 하는 살균제가 해로운 화학성분을 가지고 있어 소비자가 사망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와 같은 경우를 '안전제품 배신'이라고 지칭하며, 본 연구에서는 안전제품 배신의 유(有)/무(無)가 제조공장 유형과 본질 전이, 가치 간의 관계를 조절 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총 213명의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자동차 에어백을 가지고 실증 연구를 진행한 결과, 피험자들은 분점 공장에서 제조된 자동차 에어백보다 본점 공장에서 제조된 자동차 에어백의 가치가 더 높다고 평가하였으며, 전이된 브랜드의 본질 역시 분점 공장의 제품보다 본점 공장의 제품이 더 크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반대로 자동차 에어백이 배신을 일으킨 경우, 제조공장 유형 간에 존재했던 가치와 본질 전이의 차이가 없어지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는 소비자들이 안전제품 배신을 경험하거나 목격했다면 안전제품의 사용이나 구매를 회피하려는 경향을 보이게 되고, 이로 인해 제조공장 유형에 상관없이 배신을 일으킨 안전제품에 대해 가치나 본질 전이가 낮다고 평가하는 것이다. 현재까지 한국에서는 본점과 분점으로 나누어 제조공장 유형 간의 가치 차이를 보거나 안전제품 배신을 적용한 연구가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FOO 학문과 안전제품 배신을 통합하여 연구를 진행한 것은 새로운 학문적 기여도와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 결과를 통해 도출된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In order to extend FOO, this research has the object to demonstrate existing the difference of transferred essence and value between the types of factories(Original factory vs Extended factory). A safety product should save consumers from possible harm or risk, but it sometimes gives directly some damage to consumers. For example, like the issue of a germicide problem in 2016, a germicide killed consumers because of harmful chemistry even it should kept their health. This situation refer to 'Safety product betrayal', we expected that safety product betrayal presence/absence conditions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factories, transferred essence and value. We selected a car air-bag as a safety product for study and implemented one study with total 213 participants. As a result, the participants evaluated the value of an air-bag manufactured throughout an original factory higher than the value of an air-bag manufactured throughout an extended factory. Futhermore, they evaluated the transferred brand essence of an original factory's air-bag higher than an extended factory's. However, in the safety product betrayal presence condition, the difference of value and transferred essence between an original factory and an extend factory was disappeared. Indeed, once consumers experienced or saw safety product betrayal, they avoided to buy or use safety products. Therefore, consumers evaluated the value and transferred essence of betrayed safety products is low without the types of manufacturing factories. From the past to now, there was no paper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manufacturing factories(Orignal factory vs Extended factory) and safety product betrayal in Korea. Therefore, this research on FOO and safety product betrayal can give new theoretical and operational contribution. In the conclusion, we discussed the contribution of the study results and proposed the limitation and future study.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Business & Economics >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