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주관적 계층의식이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의 매개효과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and Its Influence on Alcohol Problems : Stress as a Mediating Factor

Authors
황지영정슬기
Issue Date
Sep-2016
Publisher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Keywords
주관적 계층의식; 음주문제; 스트레스; 매개효과;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alcohol problems; stress; mediating effect
Citation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44, no.3, pp 238 - 265
Pages
28
Journal Title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ume
44
Number
3
Start Page
238
End Page
26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7890
ISSN
1229-3040
Abstract
한국사회에서 음주문제는 질병과 사회적 문제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고소득층에 비해 저소득층은 알코올로 인한 문제에 더욱 취약하다. 본 연구는낮은 사회적 지위가 스트레스를 유발하며 이것이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친다는 건강불평등 이론을 바탕으로 주관적 계층의식이 낮을수록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며, 이는 음주문제로 연결된다는 모형을 검증했다. 이를 위해 2011년 한국의료패널을 사용하여 총7,921명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연구결과, 음주문제는 연령이 낮고 비정규직이며 남성인 경우에 더 많이 나타났으며, 주관적 계층의식이 낮고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더 많이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소득이나 교육수준은 음주문제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결과를 보여줌으로써 음주문제에 있어서 객관적인 사회적 지위보다 주관적 계층의식이 더욱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관적 계층의식과 음주문제의 관계에서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스트레스는 둘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주관적 계층의식이 음주문제에 영향을 미치며, 그 사이에서 불안이나 좌절 등의 심리사회적 스트레스가 이 관계를 매개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본 연구는 음주문제에 개입할 때 개인적이고 미시적 요인뿐 아니라 사회구조 혹은환경으로 인한 상대적 박탈감과 같은 심리사회적 요소의 중요성을 제안한다.
Although alcohol consumption in Korea is higher in the higher income group, the rate of experiencing alcohol problems is higher in the lower income group, indicating vulnerability of the lower income group. According to health inequity theorists, income inequality in the society is highly related to worse health outcomes including substance abuse. Perceived inequality or low socioeconomic status is said to cause higher status anxiety and stress that leads to negative health outco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on alcohol problems and the mediating role of stress. A total of 7,921 individuals from the 2011 Korea Health Panel were included in analysis. Main variables included are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stress, income, education, employment type, and alcohol problems. Results showed that those who reported lower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had higher alcohol related problems. Specifically, being male and precarious employment type showed higher association with alcohol problems. Interestingly, the influence of income and education were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objective social status may have less influence compared to one’s subjective consciousness of social status. Analysis of mediating effect showed that the stres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and alcohol problems. Study results supported the health inequity model in relation to alcohol related problem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ung, Sul Ki photo

Chung, Sul Ki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