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청소년의 학업 낙관주의 척도 타당화Reliability and Validation of the Student Academic Optimism Scale

Authors
신민안도희
Issue Date
Sep-2016
Publisher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Keywords
학업 낙관주의; 신뢰; 학업 관련 부모-자녀 의사소통; 학업 관련 부모의 과제관여; 학교에서의 학생의 정체성; 대처전략; 완벽주의; 자기효능감; 자기조절학습 전략; 삶의 만족도; 척도 타당화; student academic optimism; student trust in teachers; student academic self efficacy; parent-child communication; parental involvement; student identification with school; coping strategy; perfectionism; self-efficacy; study strategy; life satisfaction; validity scale
Citati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16, no.9, pp 337 - 364
Pages
28
Journal Title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ume
16
Number
9
Start Page
337
End Page
36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7932
DOI
10.22251/jlcci.2016.16.9.337
ISSN
1598-2106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학업 낙관주의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 고등학생 600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와 본검사를 실시하고, 최종적으로 563명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학업 낙관주의 척도는 ‘교사에 대한 믿음’ 요인, ‘학업 자기효능감’ 요인, ‘학업 관련 부모-자녀 의사소통’ 요인, ‘학업 관련 부모의 과제관여’ 요인, ‘학교에서 학생의 정체성’ 요인 총 5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본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구성된 학업 낙관주의 척도의 수렴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학업 낙관주의 척도는 ‘교사에 대한 믿음’ 요인, ‘학업 자기효능감’ 요인, ‘학업 관련 부모-자녀 의사소통’ 요인, ‘학업 관련 부모의 과제관여’ 요인‘, ‘학교에서의 학생의 정체성’ 요인으로 5개의 하위요인, 총 24개 문항이 최종 선정되었다. 둘째,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학업 낙관주의 척도는 총 5개 하위요인(총 24개 문항)으로 최종 확인되었으며, 학업 낙관주의 척도의 전체 신뢰도는 .941로 나타났다. 셋째, 수렴 타당도 검증 결과, 학업 낙관주의 척도는 대처전략, 완벽주의 성향, 자기조절학습 전략 및 삶의 만족도와 부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타당도가 검증된 학업 낙관주의 척도는 향후 고등학생들의 학습 상황에서의 낙관성을 진단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tudent Academic Optimism Scale for high school students. Of the 600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donggi, Korea, 563 completed and returned the questionnaires. The Student Academic Optimism Scale (SAOS) was refined through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es and was made considerable changes that showed five factors (i. e., student trust in teachers, student academic self-efficacy,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parental involvement, and student identification with school), and 24 items.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confirmed that the SAOS formed the five factors with 24 items. Convergent validity was supported through correlations among the five factors of the SAOS, perfectionism, coping skills,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nd life satisfaction.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terms of educational settings.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 >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Ahn, Doe Hee photo

Ahn, Doe Hee
사범대학 (교육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