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노 이론서를 통해 본 젠치쿠(禅竹)의 사상

Authors
임찬수
Issue Date
Jul-2016
Publisher
동아시아일본학회
Keywords
젠치쿠; 가부주이노키; 고온산쿄쿠슈; 유현; 속 와카; 禅竹、歌舞髄脳記、五音三曲集、幽玄、俗、和歌; Zenchiku; KANUZUINOKI; GOONSANGYOKUSHU; Uhyun; Vulgar; Waka
Citation
일본문화연구, no.59, pp 265 - 285
Pages
21
Journal Title
일본문화연구
Number
59
Start Page
265
End Page
28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8061
DOI
10.18075/jcs..59.201607.265
ISSN
1229-4918
Abstract
젠치쿠의 노 이론서에는 와카의 여러 형식을 연기자의 마음가짐과 연계시키려는 노력이 나타나 있다. 대표적으로 『가부주이노키(歌舞髄脳記)』 『고온산쿄쿠슈(五音三曲集)』『로쿠린이치로히추(六輪一露秘注)』등의 이론서는 스승인 제아미의 이론을 바탕으로 하면서 와카나 한시를 대입하여 연기의 본 뜻과 마음가짐을 시적 정서에 빗대어 설명하고 있다. 그가 와카나 한시등 운문을 노 곡목과 연계한 이유는 속(俗)을 벗어나 유현한 연기를 추구하려는 마음에 나온 것이다. 그래서 『고킨슈(古今集)』나『겐지모노가타리(源氏物語)』에 등장하는 와카를 자신이 작곡한 곡목에서 인용하고, 나아가 이론서에도 유현이라는 미의식을 설명하는 부분에 등장시키고 있다. 또한 데이카(定家)의 위서(僞書)인 『산고키(三五記)』의 와카십체(和歌十体)를 각 이론서에 대입하여, 가체의 이미지와 정취를 규명하고 이를 노 연기에 적용하려고 했다는 점도 오로지 비속함을 벗어나 품격과 유현의 미적 감각을 갖추기 위한 방책에서 나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eoretical evaluations have attempted to relate different types of Waka poetry with the interpretations of Zenchiku’s Noh plays by actors. Representative theoretical books describing Noh plays include Kabunozuinoki, Goonsangtokushu, and Rokurini- chirohinchu, which are based on the theories of Zeami, who was a mentor to Zenchiku. In addition, these books describe poetic sentiments as a metaphor for certain interpretations and aim to evaluate the true intention of plays employing Waka and Chinese poetry. These aimed to avoid vulgarity, as described by UhYun. Wakas from Kokinshu or Genjimonogatari in were quote in written songs. In theoretical books, Uhyun was described to mean aesthetic consciousness. Furthermore, he tried to use the 10 types of Waka in Sangoki, Teika’s pseudograph, and explain the images and moods of the verse to highlight their refinement and aesthetics. 禅竹の能楽論書には和歌の様々な姿を演技者に心構えと連結しようとする試みが見られる。特に『歌舞髄脳記』や『五音三曲集』そして『六輪一露秘注』などには、世阿彌の理論を基にしながら能楽の理論を用いるが、和歌と漢詩を取り入れて演技の心と本質を韻文に喩えて説明している。このような禅竹の試みは脱俗して幽玄の境地を広げようとする意図によって行われた行為であろう。 そして『古今集』や『源氏物語』に載っている和歌を禅竹自分で作った曲目の中に引いたり、能楽論書にも古今集序文や光源氏が舞う青海葉という舞楽を描きながら幽玄の美意識を説明したりする。又、定家の偽書である『三五記』の歌十体を能の曲目に対比し、歌体の意味を理解する一方、これを能の演技に適用してみようとした。これによって俗を離れて高貴な品格と幽情に満ちた美的感覚を身につける方策として用いたのではないかと思われる。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im, Chan Soo photo

Lim, Chan Soo
대학원 (일어일문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