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풍경의 질서로서 ‘글씨[書]’, 순수예술이 되는 지점

Authors
이호억김영호
Issue Date
Jun-2016
Publisher
동서미술문화학회
Keywords
문자(文字); 서예(書藝); 글씨[書]; 재미; 패턴; 순수예술; ‘Character[文字]’; ‘The art of writing[書藝]’; ‘Handwriting[書]’; Fun; Patterns; Fine Art
Citation
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 v.8, no.8, pp 175 - 197
Pages
23
Journal Title
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
Volume
8
Number
8
Start Page
175
End Page
197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8196
ISSN
2287-8289
Abstract
본 연구는 한 가지 작은 질문을 던진다. 예술이 미디어로서 작동하고 있다면 미디어의 시원중 하나라 볼 수 있는 문자에 대하여 그 독립적 지위를 확인하고 순수예술(Fine Art)이라는 서구적 혹은 근대적 관점의 예술로서 문자가 예술의 지위를 확보할 수 있는 지점이 분명히 자리하고 있지 않을까? 그중에서도 동아시아의 특수한 양식인 ‘글씨[書]’ 자체의 순수예술로서의 지위와 그 타당성을 점검해 볼 필요성을 느낀다. 이는 오늘날 문명의 우열을 가림에 있어서 동과 서라는 지역의 문제에 의해 또 누가 근대를 먼저 섭렵 했는가에서 나오는 제국주의적 시각에 대한 반발이 아니다. 근대를 이해하고 도리어 이를 소비하고 재구성하기에 이른 역동양주의의 시대에 우열의 논쟁은 소모적으로 느껴진다. 이 글의 입장은 문명의 자산인 문자의 생성 원리에 대하여 확인하고 글씨 스스로의 진화 가치가 동과 서라는 이분법적인 관점을 넘어서 총체적 세계 속에서 패턴 혹은 질서를 찾아내려는 인간의 주체적인 노력에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여기서 문인(文人)은 그러한 능력에 집중하며 문자와 이미지를 사용하여 생각을 형식화시키고 이를 통해 끊임없이 새로운 패턴과 질서를 찾는 것에 노력하고 있는 자임을 밝힌다. 연구 방법으로는 세 가지 접근법을 제시한다. 먼저 ‘글씨[書]’의 재료가 되는 문자의 탄생과 진화과정을 주요한 계제의 순차에 따라 조망하고 문자의 의미와 이를 표현하는 재료들의 특징에 대해 언급할 것이다. 둘째로 순수예술의 조건에 부합하는 ‘글씨[書]’의 요소들과 당대의 패러다임의 변모에 맞추어 변하는 문자의 지위를 서론(書論)을 통해 점검해 볼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풍경과 사물 속에 있는 패턴을 찾아내려는 인간만의 노력과 그 질서에 변화를 더하는 ‘재미’에 주목해 봤다. 이 세 가지 관점을 통해 문자(文字)라는 미디어의 진화 과정을 입체적으로 밝힘으로써 문자가 ‘글씨[書]’로서 순수예술이 되는 지점에 집중하고자 한다.
The one little question that leads this study. If art function as the media, there are the points to secure the independent status of the character as Fine Art, the modern view of art. Because a character is one of the origin of media. Especially, we need to focus on the status of ‘Handwriting[書]’ which is advanced culture of East Asia. At the outset, it is imperative to clarify what we shall not polemicize here on this subject with Orientalism. This is not a resistance of imperialism, caused by the problems about who did the first uptake of modern times and the conflict between the East and West of superiority at today's civilization. These days people want to understand modern art, to consume, and to reconfigure rather than trivializing. It would be pointless to discuss this superiority issue. This study is to confirm creating principles of characters which are assets of civilization. These principles related to the human's effort who struggled to figure out patterns or rules in whole worlds with subjectivity. ‘Writer[文人]’ refers the person who want to find the patterns of whole systems and to formalize their thought through characters and images. The following three approaches to analysis are presented. First, this study addresses the meaning of ‘Character[文字]’ and properties of materials following important event of the process of ‘Character[文字]’ evolution which is element of ‘Handwriting[書]’. Second, this study inspects for elements of ‘Handwriting[書]’ and change of status of ‘Character[文字]’ following transformation of the contemporary paradigm through ‘Theory of writing[書論]’. Finally, this study focuses on the human's effort of finding patterns in landscape and fun from giving variety to these patterns. Through this three point of vie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process of ‘Character[文字]’ evolution and to focus on the point of ‘Character[文字]’ to be a Fine Art as ‘Handwriting[書]’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Arts >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