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문어 말뭉치에서의 ‘곧다’와 ‘바르다’의 의미와 사용에 대한 연구A Study of the Meanings and Uses of Kotta and Paluta ‘Straight’ in a Korean Written Corpus

Authors
김해연
Issue Date
Jun-2016
Publisher
한국텍스트언어학회
Keywords
Corpus linguistics; lexical semantics; synonymy; kotta and paluta; co-occurrence relations; metaphor theory; metaphorically extended meanings; the Sejong Corpus; 코퍼스언어학; 어휘의미론; 동의어; ‘곧다’와 ‘바르다’; 공기관계; 은유 이론; 의미의 은유적 확장; 세종말뭉치
Citation
텍스트언어학, v.40, pp 1 - 25
Pages
25
Journal Title
텍스트언어학
Volume
40
Start Page
1
End Page
2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8213
DOI
10.22832/txtlng.2016.40..001
ISSN
1229-0203
Abstract
우리는 지금까지, 어휘의미론은 여러 주제 가운데 하나인 동의성의 문제를 형용사 곧다’와 ‘바르다’를 비교분석하여 그 유사성과 차이점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연구자의 직관에 의존해서 어휘의 의미를 분석하고자 했던기존의 연구와 달리 말뭉치 분석을 통해 코퍼스언어학적 접근을 통해 두 형용사의 빈도와 공기관계를 분석하여 그 의미와 용법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곧다’와 ‘바르다’는 일차적으로 사물이 구부러지지 않고 일직선을이루는 있는 모양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지만, 이 두 어휘는 이러한 문자적의미를 넘어서 비유적, 추상적인 의미를 갖는다는 점에서 그 정확한 의미를파악하기 위해서는 실제 언어 사용 자료를 분석해야 함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우선 국어사전에서 ‘곧다’와 ‘바르다’가 어떻게 정의되고 있는지를 조사하여 그 한계점을 지적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세종 말뭉치를분석하여, ‘곧다’가 71회, ‘바르다’가 255회의 용례를 보인다는 것을 보여주고이러한 조사 결과는 그 용례의 숫자에 있어 큰 차이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그 다음으로 본 연구는 ‘곧다’와 ‘바르다’의 문법적 활용 형태를 조사하여그 용례의 숫자와 빈도를 보여주었다. 조사 결과, 두 형용사는 서관형형/수식형에 있어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고 있으나 서술형, 부사형으로도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다음으로 본 연구는 ‘곧다’와 ‘바르다’가 공기관계를 이루는 명사들의 의미적 특성을 조사하였는데, ‘곧다’는 2/3 가 구체 명사와 공기관계를 이루고 1/3이 추상명사와 공기관계를 이룬다는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는 달리 ‘바르다’는 거의 3/4이상이 추상명사와 공기관계를 이루고 구체 명사와 공기관계를 이루는 경우는 그 빈도가 극히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곧다’와 ‘바르다’와 공기관계를 이루는 명사들의 유형을 분류하고 예들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는 ‘곧다’와 ‘바르다’가 문자적 의미로 사물의 일직선의 모습을나타내는 일차적 의미를 갖지만 은유적으로 확장된 의미를 갖는다는 점에서은유이론 적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곧다’와 ‘바르다’가 추상명사와 공기관계를 이루어 사용되어 비유적 의미를 갖게 될 때 “도덕/예절/ 마음 ... 은 실체이다(MORALITY/MANNERS/ MIND... IS/ARE ENTITIES)” 은유가 작동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또한 정직, 예절, 인격적 고결과 같은 도덕성이나 성심(誠心)을 직선으로 보는 비유라는 점에서 “도덕/성실성은 직선이다(MORALITY/INTEGRITY IS BEING STRAIGHT)”이라는 은유가 작동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끝으로 본 연구는 실제로 사용된 언어 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삼아 ‘곧다’와‘바르다’를 분석하여 코퍼스언어학적 접근이 의미적으로 유사한 어휘들의 용법과 의미를 밝히는 데에 있어 대단히 유용한 방법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는점에서 코퍼스언어학적 접근과 은유이론이 어휘의 의미 탐구에 있어 다른어휘의 의미와 용법 분석에 적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Synonymy has been one of the intriguing topics in lexical semantics. As a study of synonymy, this research explores and compares the meanings and uses of kotta and paluta ‘straight’ through an analysis of the Sejong Written Corpus. After a brief discussion of previous studies and dictionary definitions, this research shows the frequency rates and cooccurrence relations of kotta and paluta in the database. Examination shows that kotta occurs 71 times, and paluta 255 times, showing a grea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their occurrences in the database in spite of their similarity in meaning. Second, this research examines the cooccurrence relations of the two adjectives, showing that two thirds of the kotta tokens cooccur with concrete nouns, and that about three fourths of the paluta tokens with abstract nouns, showing a sharp contrast in the distribution. Based on the observation, this research explores metaphorically extended meanings of kotta and paluta in terms of the metaphors of MORALITY/ MANNERS/MIND... IS/ARE ENTITIES and MORALITY/INTEGRITY IS BEING STRAIGHT. Finally, this research shows that a corpus-linguistic approach and metaphor theory are useful tools for characterizing synonymous words and metaphorically extended meanings of synonymous lexical item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Department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