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공공외교가 국가이미지와 국가 브랜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uthors
최용석김효미
Issue Date
2016
Publisher
한국콘텐츠학회
Keywords
공공외교; 문화외교; 소셜 미디어; 호감도; 국가이미지; 국가브랜드; Public Diplomacy; Cultural Diplomacy; Social Media; Attraction; National Image; National Brand
Citation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v.16, no.3, pp 426 - 438
Pages
13
Journal Title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Volume
16
Number
3
Start Page
426
End Page
43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8396
DOI
10.5392/JKCA.2016.16.03.426
ISSN
1598-4877
Abstract
본 연구는 공공외교가 이루어지는 소통의 채널에 관심을 두고,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공공외교 활동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소셜 미디어의 특성이 공공외교 콘텐츠 호감도와 국가 이미지, 국가 브랜드 호감도와 로열티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체계적인 실증분석을 위하여 7개 대륙 42개국 외국인 301명을 대상으로 표본을 수집하였으며, 연구 결과, 소셜 미디어 특성 중 상호작용성과 신속성을 제외한 모든 변수가 공공외교 문화 콘텐츠 호감도와 유의한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공외교 문화콘텐츠 호감도는 국가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국가 이미지는 국가 브랜드 호감도와 국가 브랜드 로열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21세기 공공외교 정책의 효과적인 수단으로써 소셜 미디어가 가지는 영향력이 검증되었으며, 공공외교를 수행하는 주체들에게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미래 공공외교 활동에 이바지할 수 있는데 시사점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or not social media could have influence upon diplomatic activities and become effective means of diplomatic communication, focusing on the communication channel of public diplomacy. Study subjects were 301 foreigners from 42 countries in 7 continents, and influencing relationship among the fondness of social media-utilized public diplomacy cultural contents, country images and country brands was examined, together with its effectiveness. The results attained are as follows: First, all independent variable except interactivity and immediacy had significant influencing relationship with the fondness of public diplomacy cultural contents. Second, the fondness of public diplomacy cultural contents had significant influence upon country images, whereas country images had significant influence upon the fondness of country brands and the loyalty of country brands. Based on study findings, the influence of social media as effective means of communication of public of diplomacy policy in the 21st century was confirmed. In addition, This study contribute to expansion of public diplomacy research area from pre-exisiting study and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future activiti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oi, Yong Seok photo

Choi, Yong Seok
산학협력단 (산학협력단)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