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상황에서의 가짜뉴스 식별: 영상 vs 문자Identifying Fake news in the Disastrous situations: Video versus Text
- Other Titles
- Identifying Fake news in the Disastrous situations: Video versus Text
- Authors
- 조한슬; 오명진; 신정우; 이창준
- Issue Date
- Jun-2021
- Publisher
-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 Keywords
- 가짜뉴스; 재난재해; 매체형식; 영상; 식별요인; fake news; disastrous situation; media types; video; identification
- Citation
-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v.38, no.2, pp.83 - 120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 Volume
- 38
- Number
- 2
- Start Page
- 83
- End Page
- 120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08271
- DOI
- 10.36494/JCAS.2021.06.38.2.83
- ISSN
- 1598-5733
- Abstract
- 가짜뉴스가 기존 문자매체를 넘어 최근 영상매체로 확대되면서 진위여부 판단이 더욱 어려워졌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재난재해 상황에서 뉴스는 정보전달 등 여러 중요한 역할을 갖기 때문에 재난상황에서의 가짜뉴스는 더 큰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짜뉴스를 식별하는문제와 관련해 체계적인 분석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가짜뉴스의 매체 형식이 다양해짐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들은 문자 형식의 가짜뉴스 식별에만 국한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뉴스의 내용은 동일하지만 매체 형식이 다를 때 해당 뉴스에 대한 수용자의 진위 여부 판단 능력에 어떤 차이가 있을지 다항로짓모형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가짜뉴스 식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매체 형식, 개인의 인지⋅경험적 요인, 인구통계학적 요인을 고려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수용자의 판단 능력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수용자는 영상 형식으로 제공된 가짜뉴스에 대해자신이 판단한 진위여부에 더 확신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뉴스에대한 평소 신뢰도, 정신적 피해 경험, 뉴미디어 선호도도 가짜뉴스 진위여부식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COMMUNICATION > DEPARTMENT OF MEDIA & SOCIAL INFORMATICS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