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도시철도 심벌마크의 디자인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A Study on Design Characteristics Analysis of Urban Railway Symbol Mark- Focusing on Metro Symbol Marks in 40 Cities in China -

Other Titles
A Study on Design Characteristics Analysis of Urban Railway Symbol Mark- Focusing on Metro Symbol Marks in 40 Cities in China -
Authors
이미동송민정조흥계
Issue Date
Sep-2022
Publisher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Keywords
도시철도; 심벌마크; 조형적 특성; Urban Railway; Symbol Mark; Formative Characteristic
Citation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20, no.3, pp 147 - 160
Pages
14
Indexed
KCI
Journal Title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ume
20
Number
3
Start Page
147
End Page
16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12855
ISSN
1738-0863
Abstract
중국의 도시철도는 규모가 막대하지만, 도시철도 심벌마크 디자인 방면에서는 난해한 디자인, 철도 이미지와의 연계성 없는 디자인 등으로 인하여 도시철도 심벌마크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철도 이미지 차별화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로 중국 40개 도시철도 심벌마크의 현황과 디자인 특성을 탐구하고, 설문조사와 사례분석을 통해 중국 도시철도 심벌마크에 대한 인지현황을 파악하였다. 그 후에 5개의 측면에서 평가하여 시사점, 그리고 향후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하려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먼저 이론적 고찰을 기반으로 연구대상을 분류·분석한 후, 설문조사와 다속성 비교분석법을 이용하여 사례를 비교·분석한다. 연구 결과는 첫째, 형태의 경우, 원형과 상징적 유형 심벌마크가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도시를 대표하는 영문자, 한자 등을 활용하여 시각요소로 사용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색채 사용 특징분석에서 빨간색 계열이 가장 높은 선호를 보였으며 빨강, 파랑, 초록 3가지 색채의 사용은 전체의 80%를 차지하였다. 셋째, 도시철도 심벌마크의 인지 오류를 줄이기 위해 무엇보다 식별력이 가장 중요시되어야 한다. 또한, 대중의 인지심리와 이해력에 부합하고, 정보의 전달과 수신 과정에서의 어긋남을 피해야 한다. 넷째, 차별화된 도시철도 이미지를 부각하기 위해 도시의 유일성과 정체성을 표현할 수 있는 콘텐츠를 심도 있게 고려하여 선별해야만 도시의 특성에 알맞고 독창성 있는 도시철도 심벌마크를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the current status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40 urban railway symbol marks in China as a basic study to establish a strategy for differentiating urban railway images, and identified the cognitive status of Chinese urban railway symbol marks through survey and case analysis. After that, it is evaluated in five aspects to present implications and future design directions. As a research method, first, the research subject is classified and analyzed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then the case is compared and analyzed using a survey and a multi-attribute comparative analysis method. First, in the case of form, circular and symbolic type symbol marks were the highest proportion, and they tended to be used as visual elements by using English characters and Chinese characters representing cities. Second, in the analysis of color use characteristics, the red series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and the use of three colors, red, blue, and green, accounted for 80% of the total. Third, in order to reduce cognitive errors in urban railway symbol marks, discrimination should be the most important. Fourth, in order to highlight a differentiated urban railway image, it is necessary to select contents that can express the uniqueness and identity of the city in depth to produce an urban railway symbol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city.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 > DEPARTMENT OF COMMUNICATION DESIG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ONG, MIN JUNG photo

SONG, MIN JUNG
COLLEGE OF DESIGN (DEPARTMENT OF COMMUNICATION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